안 돼!라고 하면 안 돼? 나무자람새 그림책 32
엘레나 레비 지음, 세르주 블로크 그림, 양혜경(플로리) 옮김 / 나무말미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서 가장 먼저 

듣는 말 중에 하나인 "안 돼.'


<안돼! 라고 하면 안 돼?>는

'안 돼'의 기원은 무엇인지

언제부터 쓰였는지, 언제 사용되는지, 

왜 필요한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안 돼'는 아주 오래전 세계 곳곳에서 

거의 동시에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용, 아프리카에서는 악어,

남아프리카에서는 개미핥기로 표현했다. 

인도에서는 팔이 열개 나되는 뱀이 

백 개의 손가락을  "안 돼, 안 돼"라고 한다.  






18세기말 파리 시민들이 

굶주림에 허덕일 때 궁궐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던 루이16세에게 

시민들이 "안 돼!"라고 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에  "안 돼!"라고 말할 수 있다.

전쟁과 불공편함에 맞서는 

정의로운 "안돼"는 용기가 필요하다.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하는 "안 돼"는 

성가시고 짜증나고 서운 한 것 뿐일까?

어른들이 "돌을 던지는 아이에게  

"안 돼!"라고 한다면 누군가 

다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혼자 바다에 들어가는 아이에게 

"안 돼!"라 하는 것은 아이를 

보호 하기 위함일 것이다. 





"안 돼"라고 했을 때 

이해되지 않거나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어른들도 아이들에게 무조건 

안 돼라고 하기 전에 이유를 알려준다면 

부정적이고 서운한 '안 돼'가 아닌

사람을 보호하고 지키는 '안 돼'임을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독자에게 묻는다. 

"모든 '안 돼'가 다 나쁜 걸까?"

"'안 돼'는 왜 필요할까?"

"'안 돼' 언제 사용해야하는 걸까?"

<안돼! 라고 하면 안 돼?>를 읽으며 

다양한 '안 돼'를 찾아가다보면 

'안 돼'의 진정한 필요성도 알게 되고

진짜로 '안 돼'가 필요할 때 용기있게 

'안 돼'라고 외칠 수 있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