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포기를 모른다 - 인생을 바꾸는 7가지 무기
아놀드 슈워제네거 지음, 정지현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8월
평점 :

책 표지 속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사진이 인상 깊어 책을 선택했다고 해야 할까?
표지 속 그의 모습은 사색과 고뇌에 차고 인생의 파도에 부딪히며 세월의 바람을 맞은 중년 남성의 모습이었다. 학창시절 터미네이터 영화 속에서 인상 깊은 대사 ‘I’ll be back.’을 남기며 뜨거운 화로 속에서 사라지던 그의 모습이 아직도 머릿속에 강렬하게 남아 있다. 영화배우로만 알았던 그였지만 우연히 보디빌더 선수로서 정점을 찍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중에 캘리포니아 주지사로 선출된 것을 보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멋있는 사람이다.’라고 생각했었다.
그런 그가 또 다른 인생의 도전을 한다고 한다. 자기개발 전문가로서 인생의 4막을 시작하는 것이다. 처음에 『나는 포기를 모른다』를 보았을 때,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자서전인 줄 알았다. 그러나 읽고 보니 자기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삶의 자세를 알려주는 자기개발서였다. 그는 『나는 포기를 모른다』를 통해 자신이 가졌던 인생을 바꾸는 7가지 무기(1. 꿈을 현실로 만드는 힘, 비전 2. 한계를 정하지 마라, 3. 완벽을 향한 집착, 4. 당신의 비전을 세상에 팔아라, 5. 삶이 달라지면 기어를 바꿔라, 6. 배움에는 끝이 없다, 7. 세상을 위한 쓸모 있는 삶)를 전달한다.
사실 자기개발서를 우리 삶에 적용한다고 그들처럼 우리의 인생이 바뀐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그들과 환경이 다르고 그들과 재능이 다르고 그들과 시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활용한 좋은 삶의 자세들을 우리의 삶에 좋은 점들만 적용하는 게 무엇이 손해일까? 라는 생각은 한다. 게다가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직접 그의 삶에서 체득하여 얻었던 것들이지 않은가? 그리고 그는 보디빌더로서, 영화배우로서, 정치인으로서 삶에서 좋은 역할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는가?
특히 나는 비전을 만드는 1장이 더욱 눈이 들어왔다. 사실 이것저것 하고 싶어 하지만 무엇을 할지 모르고 이리저리 방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작정 책만 읽고 이것저것 기웃거리고 있기에 명확한 방향성도 잡히지 않고 추진력도 얻기 힘들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책 속에서 ‘분명한 비전이 있다면,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자세히 그려볼 수도 있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도 있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생각을 위한 시간과 공간을 만들라고 조언한다. 위에서 말한 대로 나에게 필요한 것들을 가져와 활용한다며 자기개발서는 그로써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조언대로 비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 비전과 목표를 만들기 위해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보려고 한다. 당신도 당신의 인생을 위해 『나는 포기를 모른다』를 읽고 하나의 차이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