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 - 현대 물리학의 존재론적 질문들에 대한 도발적인 답변
자비네 호젠펠더 지음, 배지은 옮김 / 해나무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렵지만 괜찮아.


오랜만에 자연과학 서적을 읽었다. 읽고 처음 느꼈던 감정은 어렵다.’였다. 그리고 머리가 묵직해지는 기분이 들었다. 코스모스를 처음 읽었을 때 느낌이었다. 소설처럼 쭉쭉 진도가 나가지 않고 이해가 되지 않아 전 문단, 전전 문단, 전 페이지를 다시 읽게 되어 읽는 시간이 배는 되는 듯했다. 하지만 나의 지적인 갈증을 한 번에 채워주는 책이다. 코스모스, 사피엔스, 만들어진 신을 재밌게 읽었던 독자라면 이 책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도 재미있게 읽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평소 SF, 공상과학 장르를 좋아하던 사람들도 흥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는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만 보아도 SF, 공상과학 장르 팬들이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을까?’하고 궁금해하던 내용이 많아 보인다. 시간, 우주, 원자, 평행우주 등의 주제는 그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해 보인다.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1과거는 정말 어딘가에 존재하는가를 읽을 때, 시간의 개념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나는 내가 느끼는 이 모든 순간이 동시에 일어난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내가 시각으로 느끼는 장면 하나하나가 사실은 아주 조금 전의 모습이라고 이야기한다. 빛의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유한하므로, 빛이 우리에게 도착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구 외 다른 곳에서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는 관찰자들이 각각 가지고 있는 지금의 개념들이 모두 동등하게 타당하므로 나의 탄생과 초신성 폭발을 동시에 보는 관찰자가 존재하고, 또 초신성 폭발과 나의 죽음을 함께 보는 또 다른 관찰자가 있으므로 나의 죽음은 나의 탄생 때 동시에 존재한다는 개념은 나에게 신선하게 다가왔다.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는 어렵다. 초기 조건, 초기 상태, 진화 법칙, 시간 가역성, 결정론 등 생소한 단어들과 개념들이 가득하고 양자역학, 일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 등 어려운 과학이론들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적 갈증을 느끼고 어려운 책을 읽고 싶은 이들이 도전해보면 좋을 것 같다. 모든 내용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해도 새롭고 신선한 관점을 보는 재미가 이 책의 매력 포인트이기 때문이다. 물리학은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는 우리의 생각의 깊이와 폭을 넓혀줄 것이다.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