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 글쓰기 수업 - 논픽션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
잭 하트 지음, 정세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졸업을 앞두고 회사에 지원을 많이 하던 때였다. 그때 알았다. 창작의 어려움을. 나를 제일 잘 알고 있는 내가 나를 이야기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다니……. 아이러니하지만 사실이었다. 지원동기, 성격의 장단점, 회사가 원하는 경험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도, 포장해서 표현하는 것도 시원하게 쓰지 못했다. 그때 느꼈다. 글쓰기의 필요를. 그리고 욕심이 생겼다. 잘 쓰고 싶다는. 그때부터 글쓰기에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회사에 입사하고 이런저런 일 덕분에 어느샌가 글쓰기를 잊어버렸다.


최근에 다시 글쓰기의 관심에 불을 붙여준 것은 서평이었다. 내가 읽은 그대로의 느낌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전해줄 수 있을까? 독자들에게 좋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싶은 방법은 무엇일까? 내 마음속 의문들은 글쓰기의 속도를 더디게 만들었다. 이것이 작가들이 느끼는 창작의 고통일까? A4 한 페이지도 안 되는 분량에 글을 쓰는 나에게 과장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어려움을 겪은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퓰리처 글쓰기 수업이 눈에 띄었던 것 같다. 나의 필요가 이 책을 만나게 해준 것이다. 특히나 논픽션 스토리텔링이 결정적이었다.


저자 잭하트는 오랜 기간 편집장과 글쓰기 코치로 일하며, 퓰리처상 수상자 및 전미 장편 작가상 수상자를 다수 길러낸 베테랑이다. 나에게 필요한 만남이었다. 나는 논픽션을 쓸 때 객관적인 사실과 정보 전달만이 핵심이라고 알고 있었다. 논픽션에 스토리라는 개념은 나의 머릿속에는 없었다. 하지만 저자는 책 속에서 말한다. ‘스토리는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스토리는 인간 존재를 지배한다.’ 저자는 스토리를 중심으로 캐릭터, 구조, 시점 등의 주제를 여러 장을 통하여 알려준다. 특히 여러 예시와 저자의 경험은 추상적인 이론을 머릿속에 그리는 데에 도움을 많이 준다. 이 예시들은 내가 글을 쓸 때 재료로써 자양분이 되어 줄 것이다.


이전에도 글쓰기 관련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글쓰기 관련 강좌를 수강한 적도 있다. 강의와 책은 나에게 글쓰기 스킬을 알려주었다. 이게 다일까? 아니다. 스킬을 안다고 글쓰기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내 경험이 나에게 알려준다. 연습이 필요하다. 이 책을 읽고 책 속 예시들을 내 글 속에 담아보고, 글 재료들을 잘 구성해 독자들의 관심을 끌 만한 스토리도 만들어 보자. 그러고 나서 비교해보자. 예전 글과 최근 글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나도 계속 서평을 도전하면서 비교하고 다듬으려고 할 것이다.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