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관찰 - 멀리할 사람인가 가까이할 사람인가?
구라하시 마야코 지음, 황세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가끔 저 사람 왜 저래?’ 이런 생각을 한다.

나의 상식에선 이해가 되지 않는 사람들.

그리고 가끔 너 왜 그래?’ 이런 소리를 들을 때도 있다.

그들의 상식에선 이해가 되지 않는 나.


우리는 다르다. 세상엔 나와 똑같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비슷할 순 있어도 미묘하게 조금씩 다른 우리들. 우리는 그 속에서 치고받으며 스트레스받으면서 살아간다.


이 책은 우리의 모습들을 설명하며 사람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조언을 준다.


우리의 모습, 행동으로 9개 유형으로 나눠 각 유형의 특징을 설명하며 어떻게 다가갈지, 어떻게 대처할지를 알려준다. 각 유형의 모습에 사람들이 완벽히 맞지는 않아도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


각 유형은 완벽형 조력형 성취형 독창형 탐구형 안전형 낙천형 리더형 조화형으로 나누어진다. 책에서 가장 재미있던 이야기는 우리가 느끼는 공포의 유형이 다르므로 성격이 다르다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완벽형은 틀리는 것, 결함이 있다고 느끼는 것, 조력형은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것, 조화형은 자신만의 세계가 파괴당하는 것이다. 각 유형은 이들에 공포와 불편을 느끼며 그것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행동에서 성격 유형이 표현된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긴가민가한 느낌을 받았지만 미묘하게 내 이야기 같고 내 주위 사람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들었다. 실생활에서 사용해봐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 느낌과 함께 말이다. 하지만 책 끝에서 저자가 우리의 성격은 크게 각 유형으로 구분되지만, 우리가 살아온 환경의 영향으로 다른 유형의 성격을 조금씩 가질 수도 있다는 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퍼즐 조각처럼 완전히 맞을 수 없으니 이 책을 참고하여 행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책을 읽고 우리 주위 사람과 나의 유형 분석을 하여 생활한다면 서로를 이해할 수 있고 인간관계가 유연해지고 나로서 사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번 읽어볼 만한 책이다.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