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선언들이 익숙한 멜로디로 들리는 것은 '주체'와 '인간'의 동일화, '능동적 인간'에 대한 찬양이 유행가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많은 부분 근대가 만들어낸 후유증이 틀림없다. 계몽의 시대에 대한 염증이 '너 자신을 알라'라는 명령을 '너 자신을 알리라'로 바뀌도록 했다고나 할까. 그 시작점의 의도에서는 나쁜 맥락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알린다'는 행위를 <상품>과 <광고>로 환원시켜서 주문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면, 오해와 편견으로 인한 갈등과 소외를 감소시킬 도구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지 않은가. 물론 거기에는 알려야 할 자신의 덕목들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누구든지 알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태어나는 일에 관여할 수 없었듯이, 삶은 의외로 (자신이) 간섭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 비록 예측된 일이라 하더라도 그 대응에 있어 무력하기도 하다. 언어와 문화, 구조는 이미 개인의 자유의지의 한계를 설정해 놓았기에 주체적으로 살고자 하는 이들은 (궤도 안에서) 저항하고 분노한다. 자신을 표현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나 표현할 기회를 박탈당했다고 느끼는 수많은 현대 대중들은 이런 까닭에서 '자기 욕망을 마음껏 발산하라'는 메시지에 쉽게 경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식인, 지성인들의 은밀한 충고를 통해 비난_조롱당하기도 한다.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한 어떤 '실체'가 과연 당신의 실체가 맞느냐고, 동일성과 정체성을 찾아 헤매는 당신의 욕망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일 뿐이라는 식으로 말이다. 우리에게는 경계해야할, 근절해야 할 많은 장막들이 있다. 그런데 때로는 장막과 대안의 경계가 흐려져 보인다. 더 경솔하게 말하자면 대안이 필요한가 말이다. 무엇을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인가.
'블로그' '페이스북' '트워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야 말로 후기자본주의 체제의 가장 도드라진 변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블로그, 페이스북은 자신의 일기장이자, 1인 미디어로서 사회적 표현이자, 사회적 관계를 통한 힘을 과시할 수 있었던 미시적 정치의 장이자, 소비시장의 활력 매체로 기능하고 있다. 이전 포스트에서 클럽과 같은 동호회(다수,집단) 체제에서 블로그와 같은 1인 체제로 네트워크 지형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즉문즉답 네트워크적 감수성을 강점으로 하는 트위터에 이르러 그 극에 달했다고 보여진다. 트위터는 집단 체제, 클럽문화의 장점이었던 '연결'이라는 특징을 극대화하면서, 단점일 수 있었던 피로감(운영진, 회원 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주었다. 더불어 블로그의 생산성이 1인에 의지하여야 했다는 점에서 매일 새로운 컨텐츠의 갱신을 요구받는 부담감에서도 해방시켜주었다. 두드러진 잇점은 역시 사용자의 감각을 만족시켜 주었던 즉시성이라 할 수 있겠다. 이 모든 것을 '네트워크 혁명'이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는데, 여전히 회의적이다. 트위터, 트위터 이용자가 수용하고 거부하면서 만들어내고 있는 체제가 상당히 모순적이라는 것이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겠다. 이것은 몸의 습속이 자본제적 삶에 적응하여 이질성을 옹호하나, 이성과 감성에 있어서는 여전히 근대적 동질성을 갈망하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