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민주당 대선 주자 해리슨의 이력은 트럼프와 상반된다. 오늘 읽은 기사에 의하면, 미셸 오바마가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해리슨을 지지하면서 구호를 외쳤다고 한다. "go higher, do something." 참여를 통해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자는 전략이 상상하는 미국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2.

칸트를 떠올릴 때마다 고진이 생각난다. 가라타니 고진은 코뮨을 재구성하려고 칸트 비판철학을 끌어온다. 고진이 생각하기에 코뮨은 자유로운 시민들의 연합체로서 이타적인 것이다. 맑스도 초기 저작에서 국가를 초월하는 인간애를 상상했을 것이다. 고진이 세계공화국을 말하는 바탕에도, 자본도, 국가도 초극하는 지점의 연합체로서의 코뮨이 있을 것이다. 이 논리에 대한 현실성 여부와 상관없이, 지금 세계가 도덕적 영양실조 상태라는 점에서 다시 꺼내볼 필요가 있다. 


3.

당대의 상황 속에 있는 칸트를 읽어보자 하면서도 내내 걸리는 여러 표현들에 마음이 버성긴다나의 이 부대낌은 어디에서 연원할까칸트는 헤쿠바를 권력에서 내려온 늙고 몰락한 여왕으로 묘사한다헤쿠바를 그렇게 읽어야 할까특수 형이상학의 역운에 드리운 그림자에서 계몽의 서곡을 연주할 칸트는 헤쿠바가 성숙한 판단력을 보여주는 인물일 수 있음을 왜 알아차리지 못할까칸트의 은유는 역사 속의 인간을 원인-결과로 묶어버리는 행위에 가깝다인간은 자연 법칙에 따른 연관만으로는 설명되지도 않고예언적 실마리로도 정리되기 어렵고경험적 물음으로도 답해지기 힘겹지 않은가 말이다칸트 자신도 역사적 경험을 사건화 하면서 인간은 일종의 창시자라고 했잖은가자유라는 소질을 가진 존재자가 현상을 일으키고 난 후에야 만들어진 산물이 존재자에게 귀속되어야 할 근거가 있을까몰락한 형이상학이 그렇듯이 헤쿠바의 추방과 고통도 헤쿠바 자신의 것이 되어야 할까진리는 현상을 사건화하는 권력과 힘의 배후에 있고 명성은 그 증거라고 말할 참일까.





  • P. 58 『판단력비판』은 칸트의 체계에서 단지 지엽적인 역할만을 담당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화이트헤드가 철학은 이성 대신 “순수 느낌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 것은 제삼 비판(『판단력비판』)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1장 기준 없이








  • P. 105 칸트와 소크라테스 모두에 따르면, 비판적 사유란 그것 자신을 “자유롭고 공개된 검토”에 노출하는 것인데, 이는 더 많은 사람이 이 사유에 참여할수록 더 나아짐을 의미합니다.
  • P. 180 『순수이성비판』—여기서 우리는 “판단은 가르쳐질 수 없고 단지 훈련될 수만 있는 독특한 재능이다”와 “이것이 없으면 어떤 학교도 고쳐줄 수 없다”라고 쓴 것을 읽을 수 있습니다.




  • 4. 헤쿠바를 상품 검색하니 슈미트가 쓴 <햄릿이냐 헤쿠바냐>만 뜬다. 슈미트의 햄릿론은 알겠으나 슈미트의 헤쿠바론이 있는 걸까. 헤쿠바를 찾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