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이처럼 핀란드 부모처럼
마크 우즈 지음, 김은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책벌레인 나는 뭐든 책을 배우려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아이를 갖고, 낳고, 기르면서 참 많은 육아서를 읽었다.
그러면서 프랑스 아이, 프랑스 육아가 참 유명하다는 것, 그리고 꽤 놀라운 프랑스 육아에 대해 알게 되었다.
아이들이 알아서 자고, 반찬 투정을 하지 않고, 식탁에서 장난을 치지도 않는 등..
생활습관이 잘 잡힌, 일종의 엄마들의 워너비 베이비 같은 프랑스 아이라니... 그 육아법이 너무나 신기하고 놀라웠다.
물론 육아란 책대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ㅎㅎㅎㅎ
그래서 읽게 된 이 책. 프랑스 아이처럼,이라는 말에 끌려 집어 들었다.
그리고 행복지수가 높다는, 인테리어뿐 아니라 여러 모에서 인기가 많은 북유럽의 엄마는 어떨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다.
그렇게 읽게 된 이 책은 내 예상과는 조금 다른 육아서였다.
프랑스와 핀란드의 육아와 생활에 대해 풀어놓은 가벼운 육아서라고 생각하고 읽기 시작한 이 책은,
두 나라뿐 아니라 세계 전반에 걸쳐서 임신부터 출산, 육아에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적어놓은 조금은 무거운, 그렇지만 페이지는 잘 넘어가는 책이었다.

아이를 갖기 위한, 아들 혹은 딸을 낳기 위한 방법이라던가 각 나라의 시험관 시술..
시험관을 하기 위해 외국으로 가는 사람들.
예상치 못한 이야기로 시작된 이 책은 생각보다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면서도 은근히 비슷한 방법의 임신 이야기라던가,
출산 방법 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어서 나름 흥미진진하기도 했다.
27개월, 배변 훈련을 끝내가는 아이를 가진 내게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일종의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나라들의 이야기는 너무나 신기했고,
아이들의 음식에 대한 부분 역시 공감하고 배우면서 읽었던 것 같다.

조금 더 큰 아이들의 학습 부분에서 사당오락이라는 말까지 언급되며, 일찍 일어나서 하루 종일 공부하고, 사교육까지 한다는 한국의 중학생 이야기가 나와서 왠지 모르게 조금 부끄러웠다. 성적표에 등수가 나오지 않으며 그저 낙제 제도만 있는, 1등을 우선시하지 않는 핀란드와 공부에 몰두하는 한국.
어느 나라가 더 낫다,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려운 결정이겠지만, 핀란드의 행복지수와 한국의 자살률을 본다면...
어느 쪽의 손을 들어줄지는 예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

세계 각 나라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는 이 책은 꽤 흥미진진했다. 다른 나라의 이야기들을 읽으며 관심을 가지기도 했고,
이렇구나, 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고, 이런 부분은 내 아이에게 적용시켜도 좋겠다, 라거나 혹은 내 아이가 이 나라에 가서 교육을 받으면 좋겠다,라는 생각도 해 보았다.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세계 최고의 자녀 교육법!이라는 부제가 딸린 이 책.
이 책에는 다양한 교육법들이 실려있으니 그중 취사선택해서 자신의 자녀에게 맞는 교육법을 찾아내는 것은 부모의 몫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