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차린 밥상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정혜경 지음 / 드루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월이 흐르면서 계승되지 않고 끊겨 잊혀가는 우리 음식 문화들이 많다. 저자는 우리 대하소설에 나온 음식을 통해 이를 복원하고자 이 책을 기획하였다. 최명희 <혼불>, 박완서 <미망>, 박경리 <토지>, 이상과 심훈, 판소리 다섯 마당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적벽가>에 기록된 바에 따라 그 시대의 풍속과 음식 문화를 인문학적 관점으로 알아본다. 대하소설은 그 당시 시대상을 알 수 있는 대체 기록물로 지역별로 구습 되어온 전통과 음식에 관한 이야기들을 엿보기에 더없이 좋은 텍스트다. 주변에서 나는 다양한 식재료로 주식류, 부식류, 기호식 할 것 없이 여러 가지 음식들을 만들어 먹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문학 작품 속에서 발췌한 음식에 대한 이야기들을 듣고 있자니 어린 시절 어머니께서 곧잘 해주시던 음식이 겹쳐서 떠오른다. 넉넉한 살림은 아니었지만 명절 때면 각종 전과 토란국을 빠짐없이 먹었고 제철 과일이나 방앗간에서 떡을 해 먹었던 기억이 난다. 서구화된 지금의 음식 문화와는 달리 그 시절엔 소박하지만 건강한 식재료가 삼시 세끼 상 위에 올랐다. 지금은 비싸서 자주 못 먹지만 고등어구이, 임연수 구이, 갈치구이 등 생선구이를 먹으며 자랐다. 문학 작품을 통해 잠시나마 과거 그때 그 시절로 되돌아간 듯 음식에서 옛 향수를 느끼며 우리의 기억을 복원시킨다. 그런 점에서 문학은 우리의 소중한 유산이기도 하다.


책 중간마다 수록된 음식 사진과 그림, 도표로 정리한 식재료와 음식 분류를 보면 되려 우리 음식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소설 속 음식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인 혼, 미, 향, 한, 반, 정을 읽어낼 수 있었다고 하는데 음식은 곧 그 나라의 문화이기에 공감되는 말이다. 후대에 사는 우리들이 그 가치를 계승하고 예전엔 즐겨먹었지만 점점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않을까라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선조들은 꽤나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음식들은 오로지 우리 땅에서 자란 식재료로 만들어 맛은 훨씬 뛰어났을 것이다. 문학에 담긴 한상차림은 우리 삶 그 자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