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단어 품격있는 말 - 말맛은 살리고 표현은 섬세해지는 우리말 수업
박영수 지음 / 유노책주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은 한 번 내뱉고 나면 주워 담을 수가 없다. 글은 수정이나 정정할 수 있지만 한 번 나간 말은 그럴 수가 없다. 우린 말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그 사람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선입견을 갖는다. 계속 반복해서 틀린 단어를 쓰거나 욕을 섞어서 말하면 못 배웠거나 품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틀리게 쓰듯 경우에 맞지 않은 말을 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우리가 매일 쓰는 말과 글은 문해력과 어휘력이 결정짓는다. 교양 있고 지적인 사람들은 말과 글에서 그대로 묻어 나온다. 한국어를 깊이 있게 공부하다 보면 그 갈래와 용법에 따라 형용사, 동사, 부사로 표현하는 말이 얼마나 다양한지 감탄하게 된다.


모호한 말이 많아서 뜻을 제대로 알고 써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때가 종종 생긴다. 가령 '틀리다'와 '다르다'를 말에 맞지 않게 쓴다거나 '너무'라는 부사를 긍정과 부정에 상관없이 남용하는 사례처럼 말이다. 한때는 책을 읽다가 우리말을 발견하거나 좋은 표현을 따로 기억해뒀다가 글을 쓸 때 써먹고는 했는데 일상에서 자주 쓰지 않다 보니 잊히는 것이 안타깝다. 이 책도 우리가 비슷하게 여기는 말을 서로 비교해가며 설명해 줘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역시 뜻을 알고 써야 한다는 걸 느꼈고 문해력을 높이려면 독서는 물론 한자를 많이 할 필요가 있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여전히 한자어가 우리말에서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공부하듯이 읽어야 한다. 헷갈리거나 평소 애매모호했던 말을 배운다는 마음으로 순서와 상관없이 어느 상황에서 쓰이는지 그 쓰임새를 알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서로 비교해가며 뜻을 배우고 나면 참 어렵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우리말의 재발견, 지식을 채우는 말, 관계를 넓히는 단어, 성숙함을 더하는 단어, 아는 만큼 성장하는 말로 나눴지만 미묘한 차이를 알려면 어느 쪽을 펼쳐봐도 무관하다. 우리말은 같은 말이라도 어느 문장과 함께 쓰는 냐에 따라 뜻이 다르고 표현하기 위해 쓰이는 말도 폭넓다. 지적인 표현을 할 줄 아는 어른이 되려면 그만큼 말의 뜻을 적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우리말을 품위 있게 쓰고 싶거나 미묘한 차이점을 알고 싶다면 읽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