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에 대하여
저스틴 그레그 지음, 김아림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 사고하며 생각할 줄 아는 인간이 모든 면에서 우월한 지위를 갖고 지구상의 동물들을 지배해왔다. 동물행동학자가 쓴 이 책을 읽다 보면 결코 인간이 절대적으로 뛰어난 존재라고 단정 짓지 못할 여러 사례와 마주치게 된다. 


"우리는 보편적인 규범 체계를 극단까지 끌고 가 다른 집단의 사회적 행동을 통제하고 제한해 오곤 했다. 반면에 동물들은 우리보다 덜 세련된 규범 체계를 가졌지만 훌륭한 삶을 살아간다."


오죽하면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가 사람보다 낫다는 말까지 생겨나는가. 이제 동물은 인간이 지배해야 할 대상이라 여기는 그릇되고 편협된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자. 모든 동물이 의식을 가졌다는 저자의 주장에 동의한다면 이제부터 동물들의 세계가 전혀 다르게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일례로 개미나 벌꿀들은 각자 해야 할 역할에 충실하면서 규칙과 질서를 지키며 행동한다.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고 설명하는데 이해하기엔 쉽지는 않았다.


저자의 말처럼 인류라는 종이 지닌 예시적 근시로 인해 지구환경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겨났다는 진단에 동의한다. 산업화 이후로 지구환경은 급격하게 나빠지기 시작해 지구온난화와 기후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인간의 무지와 무자비한 포획으로 인해 몇몇 종은 멸종되기까지 했다. 인간이 동물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지구상에 같이 살아가는 존재라는 걸 받아들인다면 동물 학대나 마구잡이 포획을 하는 일을 자재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다소 복잡한 접근이었지만 분명한 것은 지구에 인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동물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제는 인간으로서의 우월의식으로부터 벗어날 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