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못하는 사람들 - 우리의 인간다움을 완성하는읽기와 뇌과학의 세계
매슈 루버리 지음, 장혜인 옮김 / 더퀘스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문맹에 관한 책이 아니다. 뇌과학의 책이며 인간의 오만과 편견에 관한 책이다. 읽기에 대해 내가 이제껏 갖고 있는 수많은 편견들을 깨부순 책이다.
그동안 우리는 정상과 비정상을 운운하며 자신은 당연히 정상의 범주에 있을거라 생각하며 살아왔다. 특히 '읽기' 라는 분야에서는 타인의 읽기방식에 대한 이해없이 모두가 자신의 방식으로 읽고, 읽을 수 있을거라 생각해왔다. 어쩌다 난독증 같은 용어들을 들으면 그런 사람도 있구나! 신기해 하는 정도였다.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읽는 사람들도 내용을 받아들이는 건 같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저자는 다른 방식으로 읽는 사람들이 어떻게 읽고, 어떻게 받아 들이는 지를 난독증. 자폐증, 실독증. 공감각자. 환각. 기억상실을 가진 이들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난독증은 인지와 해독에 문제가 있어 능숙하게 읽지 못하는 어려움을 가리킨다. 읽기는 말하기와 달리 신경가소성에 의존하는 후천적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읽는 경우는 신경전형적 독자. 그 반대는 신경다양적 독자이다. 난독증 독자는 픽셀화된 화면처럼 가변적인 활자유동성 상태를 경험한다. 글자가 뒤집어져 있고 움직이며 볼때마다 단어가 낯설다.
자폐증을 가진 사람 중에는 왼쪽 눈으로 왼쪽 페이지, 오른쪽 눈으로 오른쪽 페이지를 보며 동시에 읽을 수도 있다. 자폐증은 뇌의 정보처리 방식에 영향을 끼치는 복잡한 신경발달차이로 과독증은 술술 읽지만 내용은 알지 못한다. 단어해독보다 부호화에 만족을 느낀다. 또, 감각처리문제로 혼자 읽지 못하는 저독증도 있다.
실독증은 글자를 읽을 수 없지만 보거나 말하는 일은 할 수 있는 신경학적 증훈군이다. 보통 뇌손상에 의해 후천적으로 나타나고 그들은 존엄을 상실한 것 같은 충격을 받는다. 쓸 수는 있으나 읽지는 못하는 순수실독증도 있다.
공감각자는 같은 페이지를 다르게 지각한다. 글자마다 독특한 색을 띠고 있어서 색깔을 보는 경우가 많다. 때로 그들은 느낌. 냄새. 맛을 느끼기도 한다.
책을 볼때 환각을 보는 사람도 있다. 환각은 사람의 마음 바깥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고 듣고 느끼는 경험이다. 환청. 환시. 입면환각을 겪고 작가들은 꿈에서 언어적 환각을 더 분명하게 느낀다.
인생말기에 알츠하이머 병에 걸려 책 읽기를 서서히 잊어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단기 기억력감퇴, 집중려 저하, 언어능력 저하를 동반하는 점진적인 인지저하 때문이다. 치매가 아니어도 일과성 기억상실증 환자는 30분전 읽은 내용도 기억하지 못한다.

저자는 우리가 읽기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기 위해 책을 썼다고 한다. 책에서 서술한 것 처럼 다양한 읽기방식이 있고 우리 대다수는 전형적 독자이기는 하지만 본인이 전형적 독자라고 착각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책을 통해 사람마다 다른 읽기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자나 뇌질환 혹은 치매환자들의 보호자에게 큰 도움이 되는 책이다. 또한, 일반인들도 기존에 가진 편견과 선입관을 깨는데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