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팜
조앤 라모스 지음, 김희용 옮김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이비 팜>은 최상위층 고객들의 대리모 계약이 주가 되는 내용으로 비밀 대리모 시설에서 지내는 대리모와 직원들의 이야기가 실감 나게 펼쳐진다. 일 년 전에 읽은 디스토피아 소설 <시녀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시녀 이야기>가 앞으로 일어날 수도 있을 법한 일을 소재로 삼았다면 이 책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바탕으로 썼다는 점이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 여성의 몸을 생산 도구로 삼았다는 점에서는 같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결혼을 하든 결혼하지 않고 혼자 키울 생각을 하든 아기를 가진 여성들 대부분은 진심으로 원해서 아기를 품는다. 자신과 닮은 모습을 기대하며 태어날 아기의 건강을 바라는 마음은 그 자신에게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만큼 소중하다. 그런데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이 일, 즉 비즈니스가 된다면 그런 감정을 느끼기는 힘들 것이다. 무사히 출산을 해서 보수를 받는 게 무엇보다 중요할 테니.


이 책에 나오는 대리모 시설은 언론매체에 보도되면서 여러 차례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낙후된 시설과는 여러모로 다르다. 임신부들은 호화로운 시설에서 좋은 음식을 먹고 명상을 하고 태교 수업을 듣는다. 아기가 태어나면 이들은 고향에 돈을 보내거나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의뢰인들이 대단히 부유한 계층이라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만약 중간에 유산을 하거나 심각한 사고가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 대리모에게 그리 좋지 않은 조치가 취해지리라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일이다. 저자는 각자의 사정으로 대리모 사업에 뛰어든 이들의 입장을 번갈아가며 서술하고 있다. 한 쪽으로 감정이 치우치는 걸 방지하는 듯하다. 공장에서 물건을 찍어내듯 아기를 대량 생산하는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도, 이런 식으로 대리모를 필요로 하는 이들이 많다는 사실도 놀랍다. 옳고 그름의 문제를 넘어 경제적 이해관계를 포괄하는 이야기의 끝에서 우리는 무엇을 보아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