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에게 가장 싫어하는 나라를 꼽으라면 대부분 일본이라고 대답한다. 불과 백여 년 전에 몇십 년 동안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고통받았던 일이 앙금으로 남아 있는 터다. 일본이 우리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려고 했으니 악감정이 사라지지 않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 것 같다. 그래서 우리는 국제 경기에 나갈 때나 성능 좋은 제품을 살 때 일본을 견제한다. 일각에서는 무조건 일본을 깎아내리면서 일본이라는 나라에는 배울 점이 아무것도 없다고도 한다. 정말 그럴까. 일본은 전쟁을 일으킨 일에 대해 반성할 줄 모르는 사람만 모여 있는, 곧 망할 나라일까. 이를 알고 싶으면 일본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일본사 전문가인 저자는 우선 '메이지유신'에 대해 먼저 알아보라고 이야기한다. 이 책에는 '메이지유신'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있다. 19세기 중후반에 일본에서 일어난 사회적 대변혁을 뜻하는 메이지유신. 이들이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고 사회 체제를 바꾸면서 큰 변화를 이룬 후에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강대국이 되었으므로 그 반석이 된 그 사건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메이지유신을 성공으로 이끈 사람들, 사회적인 배경, 문화 등이 담긴 책 내용이 흥미로워 그리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메이지유신 이전과 이후로 나뉠 만큼 발전한 일본에 공헌한 인물들이 사무라이라는 사실이 뜻밖이었는데 그도 그럴 것이 전쟁에 나가 공을 세우는 일에 매진했던 사무라이들이 아닌가.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그들이 칼을 휘두르는 대신 주자학을 연구하면서 정치에 관심을 갖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무인인 사무라이가 칼 대신 손에 책을 들면서 정치의 중심에 서게 되고 메이지유신을 통해 변혁을 일으키는 과정이 근대화를 이룬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사실 또한 특이하다 싶었다. 피지배계층인 농민이나 상인이 아니라 지배계층인 사무라이가 사회질서를 뒤흔드는 일 없이 점진적으로 변화를 일으켰고 사람들은 이를 관망하다 받아들였는데 이때부터 개혁이든 정치든 시대를 이끌고 움직이는 역할은 특정인이 하는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고 하니 현재 일본인들이 정치에 관심 없는 현상이 이미 오래되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일본의 정치인들이 역사를 왜곡하고 자국의 문제를 숨기기 급급할 때가 많은데도 일본 국민들이 정치에 무관심한 이유가 무엇인지 참 궁금했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다니. 국민 전체가 아닌 일부가 나라를 좌지우지한다면 그 나라는 올바로 나아갈 수 있을까. 기득권층만 좋을 세상을 만들게 되는 것은 아닐까. 일본의 경우를 보면서 역사를 제대로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는 걸 느낀다. 국제 정세뿐 아니라 모국의 정세를 살피는 일에 게으름을 부려서는 안 되는 이유가 한 가지 추가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