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의 끝자락에서 바라보는 삶은 어떤 것일까. 후회가 많이 남는 삶이 될지 이만하면 잘 살았다 안도하는 삶이 될지는 그때가 되어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어떤 일이 먼저 떠오를지는 알 것 같다. 아마도 반쯤은 빛이 바래 아름다운, 또는 애처로운, 사랑에 대한 기억이 아닐까. 다들 비슷하게 통과의례를 거치며 살아가지만 모두가 다른 경험을 한다. 특히 사랑에 있어서만큼은 더욱더. 모든 이의 사랑은 형태가 다르고 한 사람의 사랑도 상대에 따라 감정의 크기가 이리저리 달라진다. 어떤 경험도 이토록 예측 불가능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정신을 차려 보니 사랑에 빠진 뒤였다 말하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처럼 폴과 수전의 사랑도 그렇게 시작된다. 이들이 그토록이나 서로에게 빠져들었던 것은 당연해보인다. 마음이 통하는 사람을 살면서 처음 만났는데 그 사람과 무슨 수로 멀어질 수 있었을까. 자석에 끌리듯 가까워질 수밖에. 19세 청년과 48세 여인 앞에는 물론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다. 그러나 사랑은 여러 문제를 가려가며 찾아오지 않는다. 끝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기쁨을 선사한 뒤 익숙해질만하면 그보다 덜한 기쁨을 남기기 시작할 뿐이다.

 

노인이 된 폴은 그의 사랑을 떠올린다. 행복과 고통이 가득했던 첫사랑을. 그의 삶을 뒤흔들었던 그 사랑을. 불현듯 시작된 사랑의 시작과 고통스럽게 끝난 마지막까지를. 오래 전에 끝나버린 사랑 이야기를 읽으며 역시 사랑은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이라 느꼈다. 분명한 이유 없이 시작된 처음처럼 끝도 이유 없이 다가오는 것이니 말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사람의 목소리로만 전해지는 이야기라 상대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수전의 기억에 남은 사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상상할 수 있는 것은 기쁨도, 슬픔도 폴보다 덜하지 않았으리라는 것 정도이지만 둘의 이야기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것이 분명해 더욱 궁금하다.

 

사랑 뒤에 찾아오는 아픔은 때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또 사랑을 한다. 새롭게 시작되는 사랑은 한 번도 보지 못한 모습으로 다가와 이전의 경험을 덮어 버린다. 인간이 망각의 동물이라는 게 더없이 다행스럽다. 반복되는 사랑 속에서 점점 더 삶을 알아갈 수 있으니.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때로 견딜 수 없는 고통을 느낀다 하더라도. 사랑을 하면 할수록, 사랑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더 선명해지는 느낌이 있다. 우리도 그 언젠가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