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뱅이의 역습 - 무일푼 하류인생의 통쾌한 반란!
마쓰모토 하지메 지음, 김경원 옮김, 최규석 삽화 / 이루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9월30일 민망한 일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당시 일본 작가 마쓰모토 하지메가 한국 입국을 거부당해 강제 출국했다. 그가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다는 이유였다. 무엇 때문에 그의 이름이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추측할만하다. 그는 단순한 작가가 아니다. 한마디로 가난뱅이 전문가이다. 가난하게 사는 법을 연구하는 전문가다. 그런데 연구에서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이다 보니 정부가 싫어하는 일을 많이 한다. 그러니 G20 정상회담을 앞둔 한국이 그의 입국을 거부할만하다. 괜스레 시끄러운 일이 생기기 전에 차단하자는 조치였을 터이다.

 

한국이 지레 겁을 먹은 데에는 이유가 있다. 그 작가는 몸을 뉘어 잠을 자는 방값을 벌기 위해 하루 8시간씩 10일 동안 일에 매달려야 하는 현실에 반기를 들었다. 그 후 스스로 노숙인으로 살았고 일반적인 직업을 거부했다. 자신을 가난뱅이라고 부르는 그는 가난하지만 당당하게 사는 법을 체험했고 그것을 정리해 책으로 냈다. 그 책이 '가난뱅이의 역습'이다. 프랑스 화가 들라크루아가 1830년에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패러디한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내용도 기상천외하다. 싼 방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가 하면 노숙하는 방법도 구체적이다. 밥값을 절약하는 방법은 안쓰럽기까지 하다. 그렇지만, 거지는 되지 말란다. 또 남에게 빌붙어 먹되 자신도 남에게 베풀면서 살라고 한다. 한마디로 당당하게 없이 사는 법을 설파한다.

 

여기까지는 뭐 그렇다 치더라도 그는 실천할 것을 주장한다. 특히 사회적 모순에 대해 항거하잔다. 그가 실천한 과거 데모 내용을 이 책에 풀어놓았다. 예컨대, 밥맛은 없고 양도 적으면서 밥값이 비싼 대학 식당을 대상으로 데모를 했다. 데모하는 방법도 가지각색이다. 고등어를 구워 썩은 내가 진동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적(?)을 항복시켰다. 한번은 선거기간 동안 국회의원들은 트럭을 끌고 다니며 확성기로 시끄럽게 하는 것이 못마땅했다. 데모할 때는 자신을 그렇게 괴롭히던 경찰도 선거 활동에는 아무런 제재도 가하지 않는 것에 화가 났다. 그는 구의원 선거에 출마해서 랩퍼, 가난뱅이 등을 총동원시켜 카니발까지 열었다. 물론 당선되지는 않았지만 선거 활동이므로 경찰의 제재를 받지 않은 점에 만족했다. 그렇다고 무력으로 사회를 전복하자는 것이 아니다. 그는 법을 지키라고 호소한다. 저자 자신도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다만, 사회의 모순에 말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바꾸자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강조한다.

 

 

이 책이 나온 배경을 추측할만하다. 이런 책이 많은 사람에게 공감을 얻는 것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다. 중류층보다 하류층이 늘어나면 일본의 사례처럼, 나라는 잘 살지만 국민은 허덕이는 모순된 사회가 정착한다. 대다수의 국민보다 소수의 상류층이 부를 독점하는 기형적 사회 구조가 자리 잡는 것이다. 굳이 마름모꼴 사회구조가 이상적인 사회라고 강변하지 않더라도 이 사회를 받치는 중류층이 없어지면 사회는 건강성을 상실한다. 이 점을 이 책은 강조하는지도 모르겠다.

돈 많고 권력 있는 사람은 이런 책이 달갑지 않을 것 같다. 돈 없고 빽 없는 사람은 이 책에서 희열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 책이 달갑지 않을까 아니면 희열을 느끼게 할까 자못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