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그랬다. 서툰 삶이 반드시 나쁜 것 만은 아니라고. 그러나 사회 생활에 서툴면 낙오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세상이다. 약육강식이 존재하는 정글 같은 현대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면 삶 자체가 고단해진다. 이런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가 책 <인간 실격>의 내용이다. 저자 다자이 오사무는 인간 실격이라는 단어로 사회 부적응자를 지칭했다. 그러나 서툰 사람을 용납하지 못하는 현대 사회를 고발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 점 때문에 이 책이 빛을 발한다.

 

저자는 우연한 기회에 공책 세 권과 사진 세 장을 접했다. 그것이 소재가 되어 이 책이 세상에 나왔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저자의 삶도 투영되어 있는 듯하다. 사회생활 적응에 서툰 점이나 자살을 여러 차례 시도한 점이 닮았다. 주인공은 어릴 때부터 가정, 학교, 사회에 적응하려고 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일부터 남의 눈에 들기 위해 튀는 행동을 했지만 주인공 자신의 진심은 아니었다. 어떻게든 사람들과 호흡하려고 했다. 그렇지만, 주인공은 점차 사회로부터 멀어져만 갔다. 가족 특히 아버지는 주인공을 방치했다. 이곳저곳을 떠돌며 살았다. 3류 잡지에 만화를 그려주는 일로 밥벌이했다.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치료를 시작했지만 이번에는 모르핀(마약성 진통제)에 중독되어 갔다. 지인들이 주인공을 정신병원에 입원시켰다. 아버지가 위궤양으로 사망한 후에나 고향으로 돌아와 요양생활을 시작했다. 27살인 주인공은 마흔 살이 넘어보일 정도로 폐인이 되었다. 주인공은 자신이 인간으로서 자격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지난해 이맘때쯤 읽었던 <참 서툰 사람들>이라는 책이 생각난다. 만화 <광수생각>으로 유명한 작가 박광수의 에세이이다. 이 책도 독자에게 비슷한 고민거리를 던진다. 사회는 여러 인격체가 모여 사는 동네임에도 획일성을 강조한다. 법, 정치, 교육, 돈이 사람을 하나로 만든다. 하나 되는 사회에 잘 적응해야 훌륭한 인격체라는 소리를 듣는다. 때가 묻는다는 말이 있다. 순진했던 아이가 성장하면서 사회에 적응해가면 때가 묻었다고 표현한다. 사회가 그렇게 지저분한 곳이라면 순진함을 간직한 어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더러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할 만큼 순수한 사람이 되도록 교육해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은 이런 고민거리를 던진다. 모르긴 해도 저자도 이런 고민으로 다섯 차례나 자살을 시도했을지도 모르겠다.

 

첫 키스의 설렘이 남아 있는가? 서툴면서 서툴지 않은 척하는 사람이 너무나 많다. 그 사람은 서툰 티가 나는 사람을 비난한다. 이런 사회에서는 첫 키스마저도 능수능란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