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고래>에 대한 두 가지 궁금증을 풀었다. 우선, 책 제목이 하필 고래일까 궁금했다. 소설 곳에 고래가 자주 등장하지 않는다. 바다 저편에서 고래가 숨을 쉬기 위해 한두 차례 떠오른 장면이 전부이다. 모비딕처럼 바다가 이 소설의 배경도 아니다. 이런 면에서 고래는 큰 의미가 없다. 그런데 한 주인공(이 책에는 주인공이 적어도 세 명이 등장한다)이 고래 모양의 극장을 짓는다. 어릴 때 바닷가에서 본 고래를 형상화한 영화관이다. 이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 있겠다. 그러나 시쳇말로 '그닥'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굳이 그 의미를 밝히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이 소설을 읽는 데에 큰 불편은 없다.
 
두 번째 궁금증은 이 책에 대한 서평에서 비롯됐다. 소설가와 문학평론가는 '소설의 영역을 넘어선 소설'이라고 평했다. 도대체 어떤 소설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소설이긴 한데 소설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았다. 학창시절 시험볼 때 외웠던 1인칭 시점이니 전지전능 시점이니 하는 따위를 염두에 두지 않아도 좋은 소설이다. 그렇다고 배배꼬인 시각은 아니다. 그저 작가가 독자와 대화를 하듯 쉽게 쓴 소설이다. 읽기에 편하다. 저자는 소설 내용에 끼어든다. 마치 다큐멘터리의 내레이션과 같이 설명 글을 툭 던져 놓는다. 이런 식이다.

"독자 여러분, 표현이 다소 상스럽더라도 부디 이해하시길. 그녀는 교양 있는 여염집 규수가 아니었으며 그날의 정사는 우아한 침실에서 이루어진 격조 높은 사랑이 아니었다."
 
노파, 금복, 춘희라는 세 여인이 등장한다. 이들이 책의 내용을 끌고 간다. 그 내용은 3대에 걸친 이야기이다. 마치 펄벅의 <대지>를 읽었을 때와 비슷한 감정이 든다. 저자 천명관 작가가 영화인 출신이어서 그랬을까. 대하 드라마를 한 편 본 느낌도 든다. 그만큼 눈에 선하도록 글을 썼다. 시인 고은이 연작 시편 만인보 30권을 완작한 후 25년 만에 술에서 깬 기분이라고 했다. 이 책을 읽은 후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소설 세계에서 현실로 돌아와서 마른 세수를 하고서야 정신을 차렸다. 그만큼 혼을 쏙 빼는 책이다.
 
판형이 다른 책에 비해 약간 큰데다 450페이지라서 두툼하다. 그림이나 삽화도 없다. 겉모양만 보면 지레 질릴 법도 하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고약한 심보를 품었다. 몇 페이지 넘겨서 아니다 싶으면 미련없이 덥기로 했다. 결국, 중간에 포기하지 못하고 마지막 장을 넘겼다. 중독성이 강한 소설이다. 문학동네소설상을 수상한 책인 만큼 그냥 그런 소설은 아니다. 책을 읽으면서 상상하기 좋아하는 독자라면 이 책을 권한다. 이쯤 되면 이 글을 읽는 사람은 궁금하다. "도대체 어떤 책인데?" 필자처럼, 책 마지막 장을 넘긴 후 이 소설을 설명하려고 애쓰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2010년 4월12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