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는 싫지만 내 일은 잘합니다 - 별난 리더를 만나도 행복하게 일하는 법
후루카와 히로노리 지음, 이해란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사는 싫지만 내 일은 잘합니다. #독후감 #사이다대처법


꽤 재미있는 책 제목 덕분에 끌려서 집어들었다. 개인주의가 팽배한 시대를 살아가는데, 과연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지 궁금했다. 리더에 관한 이야기였다. 한참을 읽다보니 리더와 팔로워를 위한 이야기였다. 리더로써 해야하는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 팔로워로써 해야하는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을 소개한 책이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직장 생활의 반복적인 문제, 소위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어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고민거리와 실천과제 던져준다.


직장인이라서 공감할 수 있는 노하우가 여럿 소개되고, 특히 상사의 입장, 부하직원의 입장을 교차해서 보여주는 장면은 꽤 신선했다. 타인의 시선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가늠해 보는 장치로써 좋았다. 별난 상사는 우리 곁에 늘 존재한다. 또라이 제로 법칙이라는 글을 쓴 사람도 인정했다. "어딜 가나 또라이는 있다."라고 말이다. 이 조직을 떠나면 좀 더 나은, 좀 더 좋은 직장이 기다리고 있다고 착각하는 환상 속에서 벗어나라고 조언한다.


현실로 돌아올 차례다. 직장이라는 장면에서 어떻게 하면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 꽤 심오하면서도 늘 화두로 올라온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3가지 장면을 꼽아보았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이다. 신뢰, 약속, 태도에 관한 것이다. 옳다고 생각하는 행동은 존재한다. 가령, 윗사람에게 예의바르게 해야하며, 약속은 지켜야 하며, 맡은 일은 끝까지 책임져야 하는 것을 말한다.

직장은 신뢰로 시작하여 신뢰로 끝나는 곳이다. 그래서인지 신뢰를 쌓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한다. 자신의 뜻대로 될 때도 있지만, 안 될 때도 있고, 그때마다 내가 부지런히 쌓아둔 신뢰라는 비빌 언덕이 존재한다. 그렇지 않을 때는 곤란한 상황을 겪거나 소진이 오거나 조직을 떠나야 하는 상황까지 내몰릴 수도 있다. 사람은 언제나 평화롭지는 않다. 사람은 우여곡절, 희노애락을 겪는 존재이다. 그래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에 대한 이해를 잘 하고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잊어서는 안 된다. 한 조직 안에서 어떤 태도로 일하는지, 어떤 관점을 갖고 업무를 수행하는지, 어떤 뜻을 품고 일하는지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사례가 나타난다. 선배와 후배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속에서 말이다.

우리는 기본을 학교나 친구와의 관계를 겪으면서 몸소 체험했다. 약속을 지켜야 하며, 시간을 지키고, 하기로 했던 일을 끝까지 마무리하는 것. 이것이 기본이다. 직장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장면의 차이가 있을 뿐 인생을 살면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됨됨일 것이다. 남이 보이지 않을 때도 타인을 위해서 일하는 이타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는 것 등이 그러한 범주에 속한다. 기본을 지키는 것에서부터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만을 생각하고, 나의 이익을 우선하면 짧게 성공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지적하는 부분에서 이어가면 이타적인 사람이 교우관계나 동료관계, 인간관계에서 큰 문제를 겪는 경우는 잘 없다. 정말, 인성이 별로일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이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기회가 찾아오고, 성공이라는 빛이 언젠가는 비춘다. 자신이 용쓰지 않아도 주변에서 알아준다. 자신의 모습이 드러나지 않고, 숨은 곳에서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이 결국에는 성공이라는 달콤한 열매를 맛볼 수 있다. 인정받지 않아도 괜찮다. 성공하지 않아도 괜찮다. 알아주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빨리 올라간다. 진리인 셈이다.


끝으로.

모르면 물어보자는 말이 참 와닿는다. 그리고 모를 때 물어볼 수 있는 용기가 직장에서는 꼭 필요하다. 자존심?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적어도 직장에서는 말이다. 우리는 쓸모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하는 것이 줄어들 것이다. 정말로, 안타까운 상사의 유형이 소개되는 부분은 공감이 많이 됐다. 알고 있어도 알려주지 않는 상사거나 자신도 모르기 때문에 알려줄 수 없는 상사 그리고 상사의 본분으로써 태도가 불량한 상사로 유형이 3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상사의 유형은 마지막, 태도가 불량한 상사다. 어떻게 할 수 없는, 방법이 없는 상사이기 때문이다. 능력이 출중하지 않아도 상사로 이미 그 조직에 머물고 있는 경우도 있고, 낙하산처럼 내려 앉은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정통으로 올라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천차만별이다. 사례가 무궁무진하다. 그럴 때 우리가 알고 있고, 실천해야 하는 방법이 이 책에서 소개된다. 꼭 읽어서 실천한다면 스트레스로부터 조금은 해방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묻는 것은 한 때의 수치요,
묻지 않는 것은 평생의 수치다.



탈무드에도 같은 말이 나온다. "내 혓바닥에 '나는 모릅니다.'라는 말을 먼저 가르쳐라"라고...우리는 목표를 이루고, 행복한 직장인으로써 성장할 책임과 목표가 있다. 난 그렇게 믿고 있고, 그렇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생각하는대로 이뤄질 것이니, 꼭 이뤄지길 바라면서 짧게 느낀 점을 이만 줄인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