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에 낚였다. 사실이다. 이 책을 읽기 전 사랑을 할 때 필요한 기술을 배울 수 있을법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에리이 프롬이 어떤 사람인지도 몰랐다. 첫 기대가 깨져버린 것은 첫 장에서였다. "당신이 생각하는 사랑의 기술을 이 책에서 배울 수 없을 것입니다."

기가 막혔지만 그래도 책을 읽기 시작한 이상 끝까지 가보자는 생각을 하였다. 사랑의 기술이 영어로 기술되면 The Art of Loving 이었다. 사랑의 예술이라는 표현이 어색하겠으나 테크닉(기술)이라는 용어보다는 나을 것이다. 그리고 실용서이기 보다는 "철학책"에 가까웠다. 사랑을 한다라고 생각하는 인간의 심리와 사고를 파헤치고, 어떤 방식의 사랑을 해야 성숙한 인간이 될 것인가를 논하고 있다. 인간은 사랑을 열멍하는 이유를 "분리(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고 지적한다. 그리고 분리(고립)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지속하기 위해 자아도취(예, 알코올, 마약 등)의 상태를 지속한다. 이 상태가 성적 오르가즘의 상태와 유사하다고 지적하였다.

우리가 느끼지 못할 정도의 감정은 아니겠으나 사랑을 할 때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신적인 합일의 상태를 이룬다. 이 합일의 상태가 수동적이냐 능동적이냐에 따라서 성숙의 정도를 논한다. 따라서 인간의 사랑은 능동적인 사랑의 모습 즉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의 형태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한다.

합일의 상태를 바랄 때 각자의 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사랑이라는 분야에서는 1 더하기 1이 1이 될 수도 있고, 2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 존재가 하나가 되면서도 둘로 남아 있어야 한다."는 역설이 성립된다고 이야기 한다.

또한 인간은 끊임없이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에서도 소속감의 욕구를 높은 단계로 보았다. 인간은 어딘가에 속하는 소속감이 없을 때 고립감을 느끼고, 벗어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불안한 감정 내지는 사회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다. 혼자서 살아갈 수 없다는 과학적 사실과 '사회적 동물'이라는 연구결과로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다.

책을 들여다 보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상당했고, 특히나 가운데 부분에 사랑의 이론을 정립하고, 철학적인 논쟁을 자문자답하는 부분이 있는데, 다시 읽어봐도 어려웠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육체적으로 가까워지는 사랑의 한 형태를 추구할 때 인간은 불행해질 것이라는 사실이며, 자신이 갖고 있는 사랑의 형태(이상향)을 상대방에게 강요하면 그 관계는 지속될 수 없다고 조언하고 있다. 서로가 서로여야만 정신적으로 연결된 진정한 의미의 사랑을 탐닉할 수 있다고 말한다.

책의 제목에서 '사랑의 기술'이라는 부분이 어디에 등장할 것인가 고민했었다. 책의 마지막 장에서 실마리가 나오고, 정리된 내용이 나오는데, 첫 째는 정신집중, 둘째는 인내, 셋째는 자아도취(있는 그대로 보는 것)의 회복, 넷째는 신앙(합리적인 신앙)이라 말한다.

정신집중은 현재를 살아야 한다는 말과 일치한다. 가령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하지 않고, '내일은 뭐할지, 모레는 뭐할지'를 고민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고 이야기하고, 사랑할 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기술이라 말한다.

인내는 사랑을 할 때 뿐만 아니라 살아가면서 성공이라는 달콤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인내라는 쓰디쓴 약을 견뎌야 한다. 즉 사랑을 할 때도 상대방의 단점과 약점, 기분 나쁜 일들, 스트레스를 주는 행동들을 견디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자아도취의 회복은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봐라봐 줘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해주고,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그 사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는 것이 사랑의 기술이라 말한다. 말은 쉽지만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숙달시켜야 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신앙이다. 사이비 종교를 믿을 때 신앙이 아니라 내가 믿는 것을 행하고, 나아가서 믿는대로 행동하는 정신력을 의미한다. 길을 가다가 중도에 포기하지 않는 열정과 끈기가 바로 합리적인 신앙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사랑의 기술을 배운다는 곳에 방점을 찍는 책이 아니었고, 사랑의 본질을 건드리는 시도였으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심오한 책이었다. "나는 진정으로 사랑을 해본 적이 있을까?"라고 물어봤다. 그만큼의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으려면 얼마나 무르익어야 좋을까? 사랑의 기술이 아니라 사랑의 예술을 볼 수 있는 소중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