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빈 설교 꽉찬 설교 정용섭의 설교비평 1
정용섭 지음 / 대한기독교서회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 진리를 왜곡한 "인본주의"적인 책

저자는 모든 목사님들의 설교와 기독교 진리를 본인의 이성적인 논리와 판단아래 매도하고 있다.

내가 들어본 설교가 김동호 목사님, 이재철 목사님, 하용조 목사님, 그리고 김진홍 목사님등이다.

그래서 위에 나열한 목사님들의 비판을 중심으로 책을 읽었고,

저자는 저자 나름대로의 논리와 설득으로 기독인에게는 "너희는 지금까지 속아왔던거야~!!" 라고 외치고 있으며,

비기독교인에게는 "지금까지 기독교가 이해가 안되고 싫었지? 나한테 배워봐~!!" 라고 말한다.

저자가 비평하는 내용들이 다 틀렸다는 말은 아니다. 일리가 있는 내용도 있지만, 저자는

기본적으로 목사님들의 설교와 그들의 삶 그리고 그 설교를 하는 지도자에게 보이는 성도들의 반응 등은

배제한체 일반적인 자신의 논리만 펴고 있다. 설교 못해서 기독교가 문제 있다고 말하고 있다.

예배의 중심은 설교가 아니다!  예배를 통한 하나님과의 더 깊은 교제를 위해 설교가 필요한 것이지,

설교가 다는 아니란 말이다. 설교가 아무리 은혜롭지않고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지도자의 리더쉽과

모범적은 삶의 모습으로 얼마든지 논리적인 설교보다 확실한 기독교 진리를 전해줄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설교를 게을리 하라는 말은 더더욱 아니다. 하지만 설교자는 본인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설교 스타일이 있다. 그 스타일을 살려서 사람들을 하나님님과 더 깊은 교제의 자리로 안내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자기 스타일을 버리고 완전한 설교를 하려다가 오히려 스트레스 받고, 피곤할 바에야

그리고 그 완전한 설교가 얼마나 하나님 마음에들고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킬 줄거라는 확신이 없을 바에야

차라리 모세처럼 말 안하고 아론을 내세우는것이 났다. 그렇다고 아론이 완전한 설교를 했다는 것도 아니다.

저자는 또한 교묘하게 삼위일체와 천국, 지옥을 부정하며 "만인구원설" 까지도 서슴없이 말한다.

도데체 그럼 저자가 말하는 기독교 진리란 무엇이고, 본인의 구원관은 어떤지에 대한 설명이 듣고 싶어진다.

그냥 나름대로 유명한 목사님들 설교 몇편듣고, 책 몇 권 읽어서 딴지를 거는식의 신앙관은 어디서 배웠는지 궁금하다.

그렇게 설교가 중요하고 잘해서 "사도바울 설교듣다가 떨어져 죽은 청년" 얘기는 한마디도 안하고, 왜곡시키나?

사도바울 이야기의 요점은 청년이 졸아서 떨어진게 아니고, 다른것이라고 말하겠지...

이런 책을 목회자가 냈다는 사실과 기독교인이 냈다는 사실이 부끄러울 뿐이다.

하나님을 위한다는 가면을 쓰고, 인간을 위한 논리로 자신의 명석함을 드러내려는 저자가 답답할 뿐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결 2007-08-05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목회자의 본질은 여전히 설교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저자가 말하려고 했던 건 획일적인 설교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학문적 성실성이 담보된 설교에 대한 '목마름' 아니었을까요? 불쑥, 죄송합니다;;

대한민국 2007-08-07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목회자의 본질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영혼들에게 전해주어 한 영혼 한 영혼이 아버지와의 교제를 더 깊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많은 목회자들이 너무나 성의없이 주술적이고, 선동적인 설교를 해서 기독교를 맹목적인 신앙인것 처럼 비춰지게 하는 것을 좋지 않게 봅니다. 반대로 아무리 논리적이고 탁월한 설교라 할지라도 목회자의 삶이 뒤따르지 않고, 영혼들을 이끌수 있는 리더쉽이 없다면 단지 좋은 설교자라고 해서 사람들이 변화되지는 않습니다. 머리로 하나님을 이해할 수 있어도, 주님과 교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희생은 사라져 버릴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말로 사랑하는 누군가의 신상명세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제 3자 또한 그 해설을 듣고 누군가를 사랑하게되고 따르게 된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봅니다.

기독교를 지성이로 이해하라 라는 책이 이시대에 정말로 필요하지만,
지성이 전부는 아니라고 봅니다.
수많은 신학자들과 박사들, 하버드의 하비 콕스도 인본주의적인 예수님을 추구합니다.

그나마 한국에서 존경받는다는 몇 몇 목사님에 대한 비평을 쓰면서, 설교가 예배의 중심인것처럼, 목회자의 직업이 설교자이고 그것이 잘 못되었을 때는 기복주의 신앙으로 빠진다는 논리는 불합리적입니다. 기복주의로 빠질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설교 외에 목회자가 할 수 있는 성실함과 노력으로 설교에서 매꾸지 못하는 더 많은 일들을 해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도 2008-07-21 1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설교 잘못이 큽니다...
지도자의 잘못이 큽니다...

대한민국 2008-07-21 22:4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지도자와 설교의 잘못이 큰 점은 당연히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의 비평은 위에 말씀드렸듯이 올바른 비평이 아님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소위 설교가 좋지못한 교회를 평생 섬기신 권사님의 신앙이 깊고 그 누구보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은 것은 어떻게 설명하실 수 있습니까??

성도의 모습은 지도자의 거울이라고... 지도자의 잘못이 가장 크고, 설교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성도가 하나님과 직접 교제할 수 없는 것도 아니고, 목사님의 설교가 없이도 영성이 더 뛰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화살을 지도자에게 돌리는 것은 성경적으로 맞지 않은 이유는 성도들은 지도자를 위해 기도할 의무가 있고, 그 의무를 다하지 않은체 지도자만 탓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성도의 기도로 삶이 바뀐 목회자를 경험한 적이 있었으며, 저의 간증이기도 합니다. 물론 초신자들에게 그런 기도를 부탁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이미 믿는 자들.. 그리고 지도자의 문제를 알고, 설교의 문제를 아는 자들에게는 그 문제를 위해 기도하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집사의 역할을 해야할 의무가 있는 것이지, 비판하여 교회안에 분쟁을 일으키는 것은 옳지 못한 일이라고 봅니다.

설교 뿐만이 아니라, 지도자의 삶 한부분 한부분 꼭 집어서 비판하다 보면 끝도없고, 비판만하다가 80인생 마무리하게 될것 같네요.

성도 2008-07-22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자도 이런 예리한 비평의 문제를 어느정도 알고 있는 듯했습니다....


이런 이런 부분에 문제가 있다.
근데, 이것은 기독교 신앙의 근본적인 무엇인가의 심각한 결여다....
비평가의 독설(?)이 독설처럼보이지 않고,
기독교인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처럼 보였습니다...
이런것이 과연 기독교인가???

한심한 거 아닌가???

사실 그렇게
조목조목 비평한것도 아닌듯합니다...

사실 이런 비평서에 따르는 참고서적이라든지 더 진전된 어떤 신학적인 이야기가
제시되어야 하지 않나 싶었습니다........대중을 선도 하려면,,,

근데 저자의 이야기에 보면,
이 정도의 신학적인 문제는 기본이다라는 겁니다....

아마 그래서 정당한 반론도 기대할수 없는 듯.....

어쨋든 안타까울 뿐입니다...한국 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