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의 이야기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0
오라시오 키로가 지음, 엄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8월
평점 :
오라시오 키로가의 단편집,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의 이야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랑과 광기가 맞닿아 있는 듯한 이야기가 연달아 이어지는 광경이다. 그리고 좁은 의미의 사랑이 직접 등장하지 않아도, 제정신이 아니라는 말이 저절로 나올 수준으로 격정적인 감정이 비중 있게 묘사되며 작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쳐야 미친다는 옛말처럼, 사랑이라는 감정이 너무 강해지면 일반적인 의미로 미쳤다는 말을 들을 만한 행동이나 발언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그리고 그 광기마저 느껴질 정도의 감정은 종종 죽음이라는 결과를 낳고는 한다. 신체적 죽음이 아니라, 감정이 죽어버리다시피 한 사례까지 합치면 거의 모든 작품에서 죽음이라는 테마가 등장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이 단편집은 그저 미친 사랑 이야기라고 정리된 법할 스토리를 줄줄 늘어놓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 다음 경지에 발을 디딘다.
이 책에서는 근거가 없거나 비논리적인 편견 같은 내용이 흡사 등장인물들이 하나같이 절대진리처럼 믿는 불변의 사실처럼 서술될 때가 종종 있다. 하지만 이 궤변같은 문장은 미치다 못해 극한까지 치달아버리는 사랑 이야기나, 그에 비견할 만한 광기 같은 이야기가 쭈욱 등장하는 작품 분위기와 더없이 잘 어울린다. 그리고 그 안에서, 키로가는 짧지만 더없이 강렬한 갖가지 죽음 테마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일상생활에서는 아주 평범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사랑이든, 공포든, 광기든, 어떤 쪽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감정이건 일단 감정에 한 번 휩싸이게 되면, 그야말로 미쳐버린 파멸같은 결말을 맞게 되고는 한다. 그 중 상당수는 뚜렷한 근거나 별다른 계기도 없이 그냥 기분이 변하는 것에서 기인하기에, 점차 조금씩 미쳐버리는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이 책은 바로 그 과정과, 그 상황에서의 감정을 생생하고 절묘하고 또렷하게 묘사해낸다.
사람들을 저주하는 귀신이라도 등장해도 이상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괴상한 일이 일어나고, 그런 귀신 같은 존재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사람들이 두려워할 때에도 막상 그런 귀신이 직접 등장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남은 사람들이 미쳐버릴 것만 같거나, 혹은 이미 미쳐버린 모습을 보여주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 모습은 그야말로 각양각색 수준으로 굉장히 다양하다. 하지만 결말은 언제나 파국이다.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미쳐버린 사람이, 넋놓는 것 이외에 행복해지는 결말이 있을 리 만무하고, 이 작품 역시 그렇다. 처음에는 기껏해야 잠깐 신경 쓴 뒤에 이내 잊어버릴 해프닝 정도로 시작하는 일이 많았기에, 그 분위기가 더욱 두드러진다.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의 이야기를 표면적으로만 읽으면, 단편 하나를 완독할 때마다 당혹함이나 찜찜한 등의 기분만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무언가 격정적인 감정이 잔뜩 휘몰아치며 사건이 일어났는데, 막상 결말에서는 별달리 마무리되지 않은 것처럼 대충 지나가는 것만 같다. 하지만 그것은 단점이나 허술함이 아니라, 작가의 의도이자 어떤 면에서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 책은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이 가졌다고 묘사되는 격렬한 감정과 변화, 그리고 그 여파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감정이 변한 순간, 혹은 사람의 밖으로 표출되고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게 되는 순간이 이야기의 결말이다.
사랑으로 미쳐버린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사람을 미쳐버리게 할 정도의 격렬하고 격정적인 감정이란 어떤 것일까? 또한 죽음을 두려워하다가 오히려 결과적으로 죽음을 스스로 재촉하게 될 정도의 공포란 어떤 모습일까? 감정이 격해지고 변화하는 모습은 생생하고 자세하게 묘사하지만, 그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이나 관련 사건 자체는 간단하게 서술하는 문장 덕에 그 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느껴진다.
일상에서 점차 감정이 격렬해지다가 결국 누군가가 죽게 되는 파국으로 치닫게 되는 이야기가, 어느새 실제로 일어난 현실처럼 느껴지게 되는 생생하고 입체적인 표현이 더욱 깊은 인상을 남긴다. 그리고 감정이 극한으로 치달은 모습 그 자체를 통해, 다층적인 드라마를 만들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