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 동물 2 - 우리가 몰랐던 동물 이름의 유래 ㅣ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박영산 지음, 이형진 그림 / 기린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우리가 몰랐던 동물 이름의 유래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동물 2
박영산 글 / 이형진 그림 / 기린미디어 출판
아이가 유독 자신의 이름에 애착이 강한 편입니다.
그래서 이 책 제목을 보자마자 아이에게 딱이겠다!
생각을 하게 됐는데요.
바로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입니다.
세상 만물의 이름의 유래를 알게 되면
좀 더 친근하게 오래 기억해줄 것 같단 생각이 들었거든요,
역시나 아이가 책을 읽어보더니 너무 신나고 재미있다며
이 책도 시리즈냐고 물어보며
다른 이야기들도 얼른 만나보고 싶다더라고요. ^^
아이가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동물2>편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명칭의 유래는
‘돼지’였다고 해요.
“돼지는 꿀꿀” ㅋㅋ
우리에겐 거의 자동처럼 따라오는 말인데
옛 사람들은 돼지가 도도, 돌돌, 똘똘
이렇게 운다고 들렸다고 해요.
그래서 우는 소리에서 따서 ‘도시, 돗, 돋, 돝
이런 식으로 부르게 됐다는데요.
외국과 우리나라가 동물 우는 소리를
다르게 듣는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같은 우리나라 사람들도 과거와 현재
우는 소리를 다르게 들었다는 게 너무 신기하다더라고요. ^^
그리고 그 돝에 강아지, 망아지처럼
어린 동물을 부르는 ‘아지’가 붙어 ‘되아지’라고 부르다가
돼지가 됐다는 걸 알고 나니
‘돼지’의 한 글자, 한 글자가
왜 그렇게 된 건지 이해가 된다며 엄청 좋아하더라고요. ^^
이렇게 책은 명칭의 유래에서 시작해
대상과 관련한 옛 이야기도 들려주고요.
그 외에 일상에서 알아두면 좋을 다양한
배경지식들도 재미나게 소개를 해줍니다.
이 외에도 어른들도 헷갈리곤 하는
‘명태’의 다양한 이름들에 아이가 혀를 내두르며
이름대장이라며 부러워하더라고요. ^^
본인은 영어 이름, 한글 이름, 태명 이렇게 3개 뿐이라며
별명을 더 만들어야겠다며
뜬금없는 경쟁심을 보이기도 하고요. ㅋㅋ
이렇게 세상 만물의 이름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재미나게 풀어내주고 있는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는
아이가 예측한대로 시리즈인데요.
저희가 또 만나본 ‘자연’편도 무척 흥미로웠어요.
단순히 이름의 유래만 알 수 있는 게 아니라
가랑비, 이슬비, 안개비 등
알고는 있지만 차이는 정확히 모르겠는
다양한 일상용어들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어
어휘력 향상은 물론 은근히 실용적인 배경지식을
톡톡히 쌓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그러면서도 결코 무겁거나 어렵지도 않아
아이가 너무 즐겁게 읽더라고요. ^^
길고 긴 겨울 방학 이 시리즈 나머지도
만나볼 수 있게 해줘야겠어요.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은 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