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판본 육사시집 - 1956년 범조사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 ㅣ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이육사 지음 / 더스토리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초판본 육사시집 [현대어판]
1956년 범조사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
지은이 이육사 / 펴낸이 장영재
/ 더스토리 출판
이육사 시인의 초판본 디자인 시집이
새로 나왔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문득, 내가 이육사 시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나 생각해보니,
‘이육사, 청포도, 저항시인’
딱 이 세 가지가 아는 것의 전부였습니다.
문득 부끄러움이 밀려와 초판본 디자인 출간을 기념해
그의 글들을 처음으로 제대로 한 번 접해보고 싶었습니다.
육사의 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시를 꼽으라면
아마도 대부분 청포도를 떠올릴 텐데요.
저항 시인답지 않은 목가적인 느낌이 강한 시죠.
하긴 얼마 전까지 윤동주 시인의 시집을
필사한 적이 있는데,
그의 시에도 동시가 생각보다
굉장히 많이 포함돼 있어 놀라기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시 ‘청포도’에 등장하는 '청포'를 입은 손님이나
시 ‘광야’에 등장하는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은
절망의 시기를 견디게 해줄
희망의 무엇일 것이라는 게
다시 읽어도 짐작이 되네요.
학창시절 열심히 외우는데 급급했지만
이제 다시 시험을 떠나 시를 읽으니
또 느낌이 새롭습니다.
개인적으로 괜히 다시 보고 또 보게 된 시는
‘편복’이라는 시인데요.
시인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오른쪽 끝으로 달려간 이들과
왼쪽 끝으로 달려간 이들을 지켜보며
투쟁의 현장이 아닌 곳에서
고독하게 남아 있는 자신을
박쥐에 빗대 표현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시집 말미에 등장하는 ‘작가 소개’와 연보를 보면
시인은 중국과 국내를 넘나들며
문학인으로, 투사로 참 부지런히도 살아냈구나 싶더라고요.
이육사는 반복되는 투옥과 석방 끝에
결국 육사는 병을 얻었고,
몸이 허약해진 상태에서
큰형의 소상을 위해 귀국했다가 체포돼
베이징 감옥에서 순국했다고 하는데요.
추정컨대 병을 얻은 어느 시기쯤 쓴 것으로 보이는
글을 비롯해,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
여러 산문 글들도 시집 사이사이에 등장합니다.
그가 짧은 생을 마감한 건 어렴풋이 알고 있었으나
삼형제가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한 것도
이번에 시집을 통해 처음 알게 됐는데요.
시인의 마음을 모두 헤아릴 순 없겠지만,
이번 기회에 이육사라는 시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부끄럽기도 했지만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요즘 날이 갈수록 점점 악화되는 이웃나라들의
횡포와 말도 안 되는 처사들에 분노하면서도
정작 그 옛날 항일운동을 했던
수많은 이들에 대해서는
더 많이 알아보려 노력하지 못했던
스스로를 반성하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호국보훈의 달 6월,
이육사 시인의 초판본 시집을 통해
지금 우리의 평화와 안녕을 가능케 했던
많은 선조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