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커튼콜 - 연극 알기, 보기, 느끼기, 만들기
따돌림사회연구모임 연극팀 지음 / 마리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우리들의 커튼콜
연극 알기, 보기, 느끼기, 만들기
따돌림사회연구모임 연극팀 지음 / 마리북스 출판
예전에 우연한 계기로
연극놀이의 효과에 대해
한동안 이것저것 찾아보던 때가 있었는데요.
당시 관련한 내용을 보며 아이를
연극놀이 학원을 보내려고
이것저것 알아보기도 했답니다.
결국 라이딩과 수업 시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겹치면서 포기하면서
기억에서도 스멀스멀 사라져 버렸는데요.
그러다 우연히 이 책 <우리들의 커튼콜>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책을 덮은 지금
다시 한 번 그 학원들을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가득 채우고 있답니다. ;;
연예인들 인터뷰 같은 것들을 보다 보면
전혀 연예인의 삶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던 이들이
어느 날 연극 한 편을 보고,
혹은 우연한 기회에 연극을 직접 해보고
너무 강렬하게 연극을, 연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됐다는 이야기들을
무척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그만큼 연극이라는 게 갖는 매력이 크기 때문이겠지요.
바로 그런 연극을 매개로 아이들과 소통하고
아이들 내면을 치료해주고 있는 현직 교사들의 모임,
‘따돌림사회연구모임 연극팀’이 쓴 이 책은
그래서 단순히 연극의 장단점을 서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연극에 도전해볼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해주고 있기도 합니다.
책은 총 3장으로 구성돼 있는데요.
‘1막 우리 인생이 한 편의 연극이라면’에서는
연극이 지니는 놀라운 가치와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안전한 거리’가 있는 놀이라는 말이
크게 와 닿았는데요.
아이들에게 책을 읽도록 하는 이유를 꼽는다면
배경지식의 습득 외에도 ‘간접 경험’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텐데요.
하지만 단순히 글로 읽는 간접경험보다
몸으로 연기를 펼치며 경험하는 간접 경험이라는 게
아이들에게 강렬하게 각인이 될 수 있을지
상상만 해봐도 짐작이 되더라고요.
그리고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부록 같은
정보 페이지가 등장하는데요.
1막의 끝에 주어진 ‘자기우정 대화연습’이라는
정보들은 어른인 제게도 무척 유익했습니다.
‘2막. 우리는 왜 연극을 볼까?’에서는
좀 더 본격적으로 연극에 대한 이해를 넓혀 줍니다.
연극의 기본 요소 설명에서 시작해,
내가 좋아하는 연극 찾기, 연극 비평 쓰기 등
연극 관람자로서 알아두면 좋을 많은 것들을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연극을 막 즐겨보던 편은 아니라서
특히 ‘나에게 맞는, 내가 좋아하는 연극 찾기’에서 소개한
생각보다 다양한 연극들을 접하며
‘대학로는 우리집에서 너무 멀어’라고만 생각했던
저의 생각을 좀 바꿔서
보다 적극적으로 집 가까이에서도
다양한 연극들을 찾아보고
아이들과 관람할 기회를 마련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3막. 우리 함께 만드는 인생 평화극’은
실제로 연극에 도전해볼 수 있도록
정말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연극을 만들어보는데 필요한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물론
이렇게 각종 표를 만들어 연극을 만들기 위한
여러 준비요소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기도 합니다.
3막의 끝에서도 ‘연극 만들기의 실제’라는 부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어
연극을 만들어보고 싶은
청소년 친구들이 있다면 이 책,
<우리들의 커튼콜>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겠더라고요. ^^
이렇게 <우리들의 커튼콜>은
연극의 매력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물론
실제로 연극을 만들어보는 것까지
책 한 권으로 모두
간접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는데요.
연극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생긴 청소년들이나
청소년 그룹을 이끄는 어른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