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은 어떻게 짝을 부를까? - 알면 알수록 재밌고 보면 볼수록 신기한 곤충 세계 세밀화로 보는 정부희 선생님 곤충 교실 4
정부희 지음, 옥영관 그림 / 보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밀화로 보는 정부희 선생님 곤충교실 4

곤충은 어떻게 짝을 부를까?

여러 방법으로 짝을 찾는 곤충 이야기

정부희 글 / 옥영관 그림 / 보리 출판사

<곤충은 어떻게 짝을 부를까?>는 세밀화로 보는 정부희 선생님 곤충교실 시리즈의 4번째 책입니다.

이 책을 보자마자 아이에게 꼭 보여 주고 싶었습니다.

곤충을 좋아하느냐고요? 아니요. 너무 좋아하지 않아서입니다. ㅜㅜ 

근데 그게 너무 엄마 탓인 거 같아서, 늘 마음에 걸렸거든요.

엄마가 곤충, 사실 제 기준에선 그냥 벌레들에 포함되는 이 개체들은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막 온 몸이 간지럽고 징그럽고 이상합니다.

엄마가 이 모양이니 아이들이 벌레든 곤충이든 관찰을 하고 좋아할 틈을 주지 않아서, 

그리고 곤충만 보면 호들갑을 떨며 도망다니느라 바쁜 엄마를 보고 자랐으니 아이들도 당연히 곤충만 보면 기겁을 하는데 그런 모습을 볼 때마다 아이들에게 미안해지고, 참 심란하답니다 ㅜㅜ 
집에 있는 동물도감들 자체를 아이들이 그다지 좋아하지 않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유난히 곤충 파트는 무조건 패스인 아이들인데요.

그래서 이 책을 보자마자 이건 도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사가 아니니까요. 정말 실사처럼 상세한 그림이지만, 그래도 그림이다 보니 어딘가 모르게 따뜻하고 덜 징그러운 느낌이 드니까요 ;;

책을 보여줬더니 일단 표지와 사은품에서 합격점을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사은품에 혹하는 아이를 꼬드겨서 ㅋㅋ 책을 읽어야 볼펜을 가질 수 있다고 협상을 걸어 책을 볼 이유를 더욱 확실히 만들어 주었습니다. ;;

책의 곤충은 짝짓기를 하는 방법에 따라 총 5가지로 나뉘어 있는데요.

우리가 가장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노래를 부르는 곤충>에서 시작해서 반딧불이로 대변되는 <불빛을 반짝이는 곤충>, <냄새를 풍기는 곤충>, <몸짓으로 사랑을 나누는 곤충>, 그리고 <선물을 마련하는 곤충까지> 5가지 종류의 구애 방법이 등장합니다.

사실 제가 이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먼저 짝짓기를 선택하게 된 이유가 있는데요.

바로 매미 때문입니다.

아이가 여름철 매미 소리를 무척 안 좋아하거든요.

워낙 소리에 민감한 아이이기도 하지만 곤충류에 관심이 없다 보니 여름만 되면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매미들이 다 사라졌음 좋겠단 소리를 수시로 하곤 했는데요. 

기회가 될 때마다 얘길 해주곤 하지만 그래도 부모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본인이 읽어서 깨닫는 건 또 아이가 받아들이는 자세가 다르다는 걸 알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아이가 매미에 대해 조금만 더 애정을 갖고 이해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세상사가 다 그렇듯 같은 소음도 어떤 마음으로 듣느냐에 따라 소음이 되기도 하고 낭만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 

아이가 처음에는 글밥이 많다, 세밀화 책이라면서 그림이 생각보다 너무 적다, 왜 다 벌레 얘기 뿐이냐 동물은 어떻게 하나도 없을 수 있냐 등등 ㅋㅋㅋ 온갖 핑계들을 끌어대며 툴툴대고 읽기 시작했는데요.

또 막상 읽어나가기 시작하니 조용히~~ 잘 집중하며 읽는 모습을 보니 역시 엄마의 이번 작전도 성공이라는 걸 직감할 수 있었답니다. ^^

뭐든 새로운 걸 알게 되는 걸 좋아하는 아이라서 아직 한 번도 접근해보지 않았던 곤충의 세계는 아이에겐 온통 미지의 세계일 테니, 읽기 시작만 한다면 호기심이 발동하리라 믿고 있었거든요. ^^

역시! 아이는 읽으면서 수시로 제게

"엄마 매미는 허물을 벗을 때 어디로 빠져 나오는지 알아?"

"처음엔 날개가 쭈글쭈글한 채로 나온대, 그래서 좀 쉬어줘야 날개가 다 펴진대"

라며 재잘재잘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제게 들려주느라 바쁘더라고요.

그리고 매미 편을 다 읽고 나서, 아이가 드디어 말했습니다.

"엄마! 매미는 배를 실룩실룩거리면서 운대! 암컷을 부르려고 노래를 하는 거래! 그 노래를 한 번 하려고 몇 년을 땅 속에서 애벌레로 있다가 그나마도 며칠밖에 노래를 못한다니까 조금 불쌍한 것 같아, 이젠 매미가 맘껏 노래하라고 응원해줘야겠어!"라고 말하더라고요.

물론 이 이야기는 엄마가 수도 없이 해준 얘기입니다.

하지만 그 때마다 들은 척도 하지 않았거든요 ;;

하여튼 그냥 시끄러운 벌레라며 싫어하던 아이인데 역시 본인이 찬찬히 읽어보고 나니 그동안 엄마가 해줬던 말과 매칭이 되면서 매미에 대해 조금 마음의 문을 열어준 것 같더라고요. ^^

이로써 이번 책을 선택한 저의 소기의 목적은 모두 달성한 셈입니다.

아이가 이렇게 조금씩이라도 자연의 이치와 섭리를 이해하고 나의 불편과 낯설음을 앞세우기 전에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앞으로 조금씩 조금씩 더 익혀나갈 수 있길 바랄 뿐입니다. 

사실 저도 곤충에 대해서는 아는 게 정말 없어 절반쯤은 난생 처음 들어보는 이름의 곤충들도 제법 됐었는데요.

그 중에서도 낯설고도 신기한 곤충이 바로 밑들이였습니다.

밑들이를 소개하는 제목은 '풀숲을 날이다니는 전갈'입니다.

그만큼 뭔가 강인한 뭔가가 숨어 있을 것 같단 생각을 했는데요.

짝짓기조차도 포식자의 포스가 느껴지는 곤충이었습니다.

맡들이는 <선물을 마련하는 곤충> 챕터에 등장하는 녀석인데요.

즉, 짝짓기를 위해서 수컷이 암컷에게 뭔가 선물을 주는 습성이 있는 곤충입니다.

선물이 뭐냐고요? 살아있는 애벌레나 죽은 곤충, 잘 익은 열매를 발견하면 수컷이 그 앞을 지키고 서서 성페로몬을 뿜어대며 암컷을 유인하고 동시에 다른 수컷이 자신의 선물에 손대지 못하도록 감시도 합니다.

암컷은 수컷이 준비한 선물의 크기와 상태를 보고 퇴짜를 놓기도 하고,선물을 받아 먹는 것으로 구애를 허락하기도 한다는데요. 인간들의 지참금과 흡사해 보이기도 하고 여러 모로 '인간적인?;;' 구애 방법이 오래 기억에 남더라고요. ^^


이 비가 그치고 나면 사은품으로 받은 돋보기 볼펜과 <곤충은 어떻게 짝을 부를까?> 책을 들고 아이와 풀숲에 나가 보기로 했습니다. 얼마나 많은 곤충들을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이가 곤충을 피하지 않고 관찰해 보겠다고 얘길 해준 것만으로도 일단 대 성공! 올 여름엔 곤충 채집 키트라도 사줘야겠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