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수가 즐거운 학교에 가요 - 협동 ㅣ 네 생각은 어때? 하브루타 생각 동화
김혜란 지음, 윤상희 그림, 전성수 감수 / 브레멘플러스 / 2019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89.jpg)
<은수가 학교에 가요>
김혜란 글 / 윤상희 그림 / 기획 감수 전성수 교수 / 브레멘 플러스 출판
<은수가 학교에 가요>는 브레멘 플러스에서 출판한
하브루타 독서 프로그램이 세팅된 그림책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1.jpg)
책 뒷표지에 보면 특허청 표시가 선명하게 보이죠 ^^
유대인의 하브루타식 교육법,
요즘 여기저기서 많이 듣게 되곤 하죠.
하브루타를 한 마디로 하면
"네 생각은 어때?"로 표현할 수 있을 텐데요.
그래서 이 시리즈의 제목도
<네 생각은 어때?>인가 봅니다.
하브루타식 독서를 특허를 받았다기 보다는
그 독서법을 책에 직접 접목한 것이
특허의 포인트가 아닐까 싶네요.
많은 엄마들이 하브루타식 독서법이
좋다는 얘기 정도는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하지만 막상 아이와 책을 읽으며 뭘 물어봐야 할지,
어떻게 물어봐야 할 지 막막해지곤 하는데요.
이 책은 바로 그런 고민거리를 해결해주는 책이에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2.jpg)
책마다 생각 플러스 카드가 포함돼 있는데요.
책의 내용과 관련한 최소한의 질문 거리들이 적혀 있어요.
하브루타식 독서법의 경험이 전혀 없는 엄마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돼 줄 수 있을 것 같아요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3.png)
저는 책을 받고 제일 먼저
어! 이 질문카드를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ㅎㅎ
이런 엄마들의 우려를 미리 예견한 걸까요?
책 뒷표지에 있는 큐알코드를 읽으면 이렇게
질문 카드들이 재생이 되니 걱정할 필요가 없겠죠?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5.jpg)
이 시리즈는 국내에 하브루타 교육법을
최초로 소개했다는
하브루타교육 협회장을 역임했던
부천대 유아교육과 전성수 교수가 기획과 감수를 맡았습니다.
그만큼 검증되고 체계적인 하브루타식 독서법을
맛볼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기게 되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7.jpg)
책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은수에 관한
이야기로 꾸며져 있습니다.
은수는 유치원 졸업을 하면서
새롭게 입학하게 될 초등학교에 대한 걱정으로
맘이 울적합니다.
우리집에도 이런 어린이가 살고 있지요 ^^;
3월이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8세 예비초등학생 큰 따님은
초등학교에 대한 두려움이나 걱정보다는
유치원 선생님들과 만나지 못한다는
서운함 때문이라고 하는데
마음 한구석엔 낯선 초등학교에 대한
우려와 걱정이 자리하고 있겠죠 ;;
엄마의 질문 방식이 잘못됐거나
아이가 아직 말하고 싶어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단 생각에
더 꼬치꼬치 캐묻진 않았어요.
책을 읽은 직후가 아니라
어느날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다시 한 번 물어본다면
아이의 속 깊은 이야기를 들어볼 수도 있을 것 같아
더 깊이 대화 나누지 못한 질문들은
따로 추려놔 보려고 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8.jpg)
이런 은수의 걱정을 달래주기 위해
빨간 색연필이 은수를 데리고
학교 구석구석을 둘러보는데요.
아이도 이 부분을 가장 즐거워하며 읽더군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599.jpg)
저희 아이가 가장 맘에 들어한 부분은
바로 나무에서 발견한
은수 언니의 이름표입니다.
본인이 가게 될 학교에서도 각자의 나무를 정해주고
나무에 이름표를 달아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하더군요.
아이들에게 나의 것이라는 이름표 하나가
남다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내 이름을 단 나무가 있는 학교라면
아이들에게 그 학교가 더 의미 있게
다가올 수 있겠구나 싶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6/pimg_7212611062448600.jpg)
그런데 요즘 학교들에
이렇게 전교생의 이름을 걸어줄만큼
많은 나무들이 심어진 곳이 잘 없으니
현실에서 실천하긴 어렵겠지만
꼭 나무가 아니어도
아이에게 학교에 대한 애착이 가도록 하는
무언가를 설정해줄 방법을
고민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책을 읽고 하브루타 카드에 나온
질문을 중심으로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연스레
아이에게 맞는 질문들은
추가가 되는 거 같아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훈을 주입하는 게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그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시간이겠지요.
뭔가 어렵고 낯설고 거창해 보이던 하브루타 독서
그 시작이 망설여지는 분들이라면
이 시리즈가 아주 유익한 길라잡이가 돼 줄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