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의 미래, 티칭이 아니라 코칭이다
폴 김 지음, 함돈균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1월
평점 :

요즘 개인적으로 교육 공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던 때라서 더구나 읽고 싶었던 책
<교육의 미래 티칭이 아니라 코칭이다>를 읽었습니다.
제가 대략 이해한 교육공학이란,
거칠게 표현하면 공부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저는 받아들이고 있었는데요.
이참에 사전적 의미를 한 번 찾아봤습니다.
교육 공학이란
"교육 교육 활동에 필요한 인적ㆍ물적 요소를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조직하여 교육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인간의 행동에 관한 실증적ㆍ과학적 성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고 정의돼 있네요.


이 책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인 함돈균 교수가
스탠퍼드대학교 교육공학과 부학장인 폴킴 교수와
대담한 내용을 정리한 형태로 구성돼 있어요.
저는 본 적이 없지만 폴김 교수는
tvN 쉬프트 <질문으로 자라는 아이> 편을 통해
국내 대중들에게 크게 각인이 된 모양이에요.
폴김 교수는 학부에서 컴퓨터 계통을 전공하고
대학원 이후 교육 공학을 전공했다고 합니다.
이런 개인적 경험을 십분 살려 교육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실험을 더 잘 진행할 수 있지 않았나 싶어요.
세계 곳곳의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현장을 찾아서 새로운 교육 실험들을 펼치며
국경없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폴킴 교수.
그의 개인적인 프로필을 알아가면서
그런 그의 업적이 컴퓨터적 프로그래밍 작업이 능숙할 수 있어
더욱 용이했던 게 아니었나 싶더라고요.
물론, 스탠포드 대학의 오픈마인드적 접근법이 있어
계획이 현실이 될 수 있기도 했겠죠.
폴킴 교수는 이 점도 강조를 해요 ;;
과연 한국의 대학에서였다면 그것이 가능했겠는가! 하고..
폴킴교수와 함돈균 교수 두 사람은
그게 우리가 안고 있는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대담 내내 지속적으로 강조하기도 하고요.
폴김 교수는 대한민국에서 중등 교육 과정을 거의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간 케이스라고 해요.
후반에 나오는 일기에서 고백하듯
얼마나 치열하게 책상과 씨름하며 공부에 몰입했을지
조금이나마 짐작이 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