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 삶 - 사유와 의지
한나 아렌트 지음, 홍원표 옮김 / 푸른숲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나 아렌트의 재발견

 

한나 아렌트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개념은 악의 평범성이다. 그녀는 아이히만의 재판을 통해 평범해 보이는 이가 악마가 되는 과정을 탐구했다. 이때 도덕적 허용을 넘은 끔찍한 일을 저지르고도 태연할 수 있는데 에는 우매함이 아닌 사유하지 않음을 지적했다. 그렇다면 사유하다란 무엇일까? 한나 아렌트의 마지막 유작 <정신의 삶>사유’, ‘의지’, ‘판단’ 3부작으로 이뤄져있는데 아이히만의 재판은 본인의 전문분야를 넘어 정신적 활동에 대해 연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나 아렌트는 이 책에서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와 같은 전통적인 철학자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정신적 활동에 대해 분석하며 회의한다. 그녀는 사유를 전문가들의 학문이 아닌 모두의 과제로 만들고자 했지만 분량도 분량이거니와 철학적 배경지식이 부족한 이들이 다가가기에는 까다롭게 느껴지는 건 상당히 아쉽다. 사유한다는 건 외부와의 교류가 아닌 내부의 고독이다. 사유는 현상 세계 속에서 존재하지만 현상 세계의 이탈에서 시작된다. 이는 사유뿐만 아니라 후에 등장하는 의지와 판단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렌트의 의지는 곧 자유의 개념을 묻는다. 아렌트는 의지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의지를 분석했는데(p337) 이전의 철학자들은 의지와 욕망을 혼돈했다. 아렌트는 니체의 의지를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개념을 강조했는데 대상들이나 목표들 가운데 선택하는 능력과 시간 속에서 일련의 계기적인 것을 자발적으로 시작하는 능력(p533)이다. 또한 그녀는 의지의 자유를 역설하며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언급했다. 이는 그녀의 주장이 단순히 철학에 그치지 않는 정치철학으로 뻗어나가길 바랐다는 걸 알 수 있다.

 

옮긴이의 해제를 먼저 읽고 책을 읽는 편이 어려운 철학서를 정복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같다. 아렌트의 학문을 감히 일독으로 이해하려는 과한 욕심은 접어두더라도 철학서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번역의 아쉬움이 짙게 남는 책이다.

 

활동적인 삶과 정신적인 삶의 조화를 추구하는 그녀의 바람처럼, 정신적 삶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생각했다. 정신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꼭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철학적 탐구와 일맥상통하지 않다는 건 600페이지가 넘는 이 책에서 내가 유일하게 이해한 그녀의 바람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