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만드는 아이들 고래책빵 고학년 문고 21
이경옥 지음, 김민경 그림 / 고래책빵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래책빵 출판사의 

‘고학년문고’시리즈 21번째 도서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을 읽어보았어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은 

조선시대 임금님께 진상할 접선을 만드는 

‘선자청’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있어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은 

선자청에서 심부름하는 아이를 뽑는다는 

소식을 듣고 참가한 달래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요. 달래는 여자라는 이유로 

선자청에서 일하는 기회조차 얻지 못할 뻔 

하지만 어렵게 선자청에 들어가게 되어요.


방구부채(단선)을 만드는 선공인 

아버지 옆에서 어릴 때부터 대나무를 만진 

달래는 통대나무 손질을 척척해요. 

선자청의 대장선자장 아들인 봉길이도 

풀을 만드는 재료인 민어 손질을 쓱쓱 하고요. 

선자청에서 살아남기위한 아이들의 

경쟁이 정말 불꽃튀는 거 같아요.


대나무를 구하러 가는 길에 마차사고로 

부상을 입은 봉길이를 보며 

달래는 자신이 방장이 될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해요. 동료의 부상조차 자신의 기회라 

생각하는 달래의 모습을 보며 만복은 

안타까워하며 조언하지만 달래에게는 

아무런 조언도 들리지 않는듯했어요.

여자라는 이유로, 평민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조선시대 모습을 보며 안타까웠어요. 

지금도 ‘유리천장’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인데 

조선시대에는 얼마나 힘들었을까 싶었어요. 



달래는 만복이가 선자청에서 두들겨맞고 

쫓겨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되어요. 

달래의 고민을 보며 달래의 마음도, 

친구들의 마음도 다 이해가 되니 

더 안타까웠어요. 


봉길이 복귀한 뒤 정련방장 시험을 준비하는 

선자청 아이들 사이에서 달래도 실력으로 

인정받고자 늦은시간까지 열심히 준비해요.


늦은 밤 누나를 찾아 도망치는 관노 칠두의 

마지막 이야기에 그동안 선자청에서 

인정받기위해 몸부림치며 달려왔던 

달래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되어요.

“내가 여기서 무얼 하고 있는 것이지?”

과연 달래는 정련방장이 되어 

선자청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을 보며 

달래와 만복, 칠두와 봉길이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 지켜보아주세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을 읽고 

저희 아이는 “달래도 정말 힘들었을 것 같은데 

소꿉친구 만복이가 뭐라해서 속상했을것 같아요.

조언도 좋지만 응원과 지지해주는 친구가 

좋아요. 그리고 달래가 선자청에서 성공하는 

엔딩이여도 좋을 것 같았어요. 개인적으로 

달래는 접선을 만들며, 만복인 방구부채를 

만들며 우리 모두 조선을 시원하게 만들자고 

했으면 더 좋았을 거 같아요.”라고 

이야기하더라고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을 보며 

조선시대 엄격한 신분제도와 남녀차별이 

심한 환경에서 여성, 그 중에서 여자아이는 

얼마나 삶이 힘들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 환경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꿋꿋하게 

성장하고 발전하는 달래와 주변 아이들을 보며 

저절로 응원하게 되었어요.



<바람을 만드는 아이들>을 읽으며 

우리아이들이 경쟁과 차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발견하길 바라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