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새로운 하늘을 여는 아이들 꿈꾸는 문학 15
유행두 지음, 원유미 그림 / 키다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다리 출판사에서 나오는 

‘꿈꾸는 문학’ 시리즈의 15권

<가야, 새로운 하늘을 여는 아이들>을 

읽어보았어요.

<가야, 새로운 하늘을 여는 아이들>은 

‘가야 건국 신화’와 ‘구지가’를 바탕으로 한 

신화 동화에요. 수로왕의 탄생을 배경으로 한 

기존의 신화와는 또 다른 시각의 

동화인 것 같아 기대되어요!




<가야, 새로운 하늘을 여는 아이들>은 

구야국의 소바위마을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요. 제사가 끝난 뒤 엄마 무덤에 간 

달이. 그곳에서 독수리보다 큰 새를 

보게 되어요. 큰 새 옆에 새둥지에는 

커다란 알이 6개가 담겨져 있었어요. 

이 새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어제 커다란 알을 그냥 두고 온 게 

아쉬워서 다시 간 달이. 하지만 그곳에 

커다란 알은 온데간데 없고 어떤 남자아이가 

웅크려 누워 있는게 아니겠어요!

이 아이는 왜 이곳에서 정신을 잃고 

쓰러져 있는건지….



소바위 마을 촌장의 손자 여해, 

여해 집 노비의 자식인 달이, 

달이에게 구조 된 정체불명의 머루.

신분과 출신이 모두 다른 세 아이는 

하늘의 기운이 다한 구야국을 위해 

생철마을로 함께 출발해요.




갈 때는 함께 갔지만 다시 돌아올 때는 

뿔뿔이 흩어지고 마는 달이, 여해, 머루.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되는 

세 아이의 모습을 보며 조마조마해져요.




하늘의 계시를 받았다는 점성술사 무리들은 

구야국 촌장들의 대표 ‘아도간’에게 

어린 아이를 제물로 바쳐 제사를 지내면 

새로운 하늘이 열려 왕이 오신다고 말해요.

구야국의 어떤 아이도 제물로 드릴 수 없다고 

펄쩍 뛰는 아도간. 하지만 전쟁을 피하기 위해 

고심해요. 아도간은 어떤 결정을 내릴까요?




드디어 구야국의 계욕일에 제사가 시작되어요.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놓아라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 먹으리….

제사를 지내며 ‘구지가’를 부르는 점성술사와 

촌장들. ‘구지가’는 교과서를 통해 한번쯤 

접하고 갈만큼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에요. 

우리나라 최초의 집단적 서사시이자 

지금까지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주술성을 

지닌 노동요인 ‘구지가’가 

이런 상황에서 불렸다고 생각하니 

평소와 다르게 느껴졌어요.




구지봉에 모여 제사를 지내던 사람들 위로 

커다란 새가 알이 담긴 바구니를 들고 왔어요.

제물로 바쳐진 아이는 무사할까요?


바구니 속의 황금 알 여섯개를 보고 

드디어 왕이 오셨다고 외치는 점성술사.

알에서 가장 먼저 깨어난 ‘수로(알에서 

첫 번째로 깨어났다는 뜻)’를 가운데 두고 

양옆으로 나머지 알에서 깨어난 다섯 사람이 

섰어요. 이로써 대가락국에 왕이 세워졌어요. 

가야의 건국 이야기는 끝이 났지만 

<가야, 새로운 세상을 여는 아이들>의 

여해, 달이, 머루의 이야기는 계속 되어요. 



<가야, 새로운 세상을 여는 아이들>을 

읽은 저희 아이는 “달이가 무사히 탈출해서 

다행이었어요. 그리고 대제사장의 입장이 

아닌 다른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억울할것 같았어요.”라고 하더라고요.


<가야, 새로운 세상을 여는 아이들>은 

‘가야 건국 신화’와 ‘구지가’를 바탕으로 

했지만 지배자 중심이 아닌 

피지배자들의 입장에서 겪게 되는 

건국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서 색달라요. 

특히 아이들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야기하는 모습이 새롭고 재미있었어요.


<교과 연계>

국어 4학년 1학기 > 10. 인물의 마음을 알아봐요

국어 5학년 1학기 > 12. 문학에서 찾는 즐거움

국어 6학년 2학기 > 1. 작품 속 인물과 나 

<가야, 새로운 세상을 여는 아이들>을 

읽고나니 상대적으로 낯선 ‘가야’라는 

국가에 관심을 갖고 역사적으로도 

더 알아가고 싶어지더라고요. 

<가야, 새로운 세상을 여는 아이들>을 

읽으며 우리 아이들이 주인공들이

선택의 기로에서 서 있을 때 어디로 나아갈지 

함께 생각하고 고민하며 읽는다면 

가야 건국 과정이 더욱 생생하게 

다가오리라 생각되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