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 ㅣ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3
강미숙 지음, 김석 그림 / 리틀씨앤톡 / 2024년 4월
평점 :
리틀씨앤톡 출판사의 ‘생각하는 어린이 시리즈’
13번째 도서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를 읽어보았어요.
예전에 비해 주변에 다문화 가정이 많아진 것이 체감되어요. 하지만 아직 대한민국은
다문화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의 저자는
우리 사회가 단일 민족으로 이루어진 나라여서 그렇다고 말하는 것에 ‘정말 그럴까?’하는
궁금증을 가졌다고 해요.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기에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의 내용이
더 관심이 가서 흥미를 갖고 읽게 되었어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는
총 6장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모습을 통해
현재 대한민국에서 접하게 되는 ‘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외국인노동자, 난민, 이민자, 외국인유학생’ 문제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의 각 장은
제일 먼저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을
동화로 보여주어요.
‘제1장. 아유타에서 온 허 황후’에서는 아빠와
결혼한 인도여성 파티마를 새엄마로 둔 예지의 이야기가 나와요. 우리 주변에서 있을 법한
이야기를 동화로 읽으니 더 잘 이해가 되어요.

동화를 다 보면 이어서 관련된 역사 이야기를
알려주어요. 우리나라의 첫 국제결혼 부부
‘김수로왕과 허황옥 왕비’의 이야기를 보며
정말 놀라웠어요. 허황옥 왕비는 인도의
작은 나라 아유타 왕국의 슈리라트나 공주
였다고 해요. 가야는 수로왕과 허 황후의
결혼 후 안정적으로 나라의 기틀을 잡아갈 수
있었다고 하고요. 또 10명의 아들 중
2명의 아들에게 허 황후의 성씨를 이어받게
했는데 이는 엄마의 성을 자식에게 이어 준
첫 사례이기도 한대요.

‘+지식 플러스’에서는 앞에서 본
역사이야기와 연관된 역사적 사실들을
추가로 더 알려주고 있어요.
보다 풍성하고 폭넓게 역사적 상황들을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이어서 그 장에서 이야기하는 문제점에 대해
‘~ 이 겪는 문제를 찾았다!’라는 제목으로
이야기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다문화 관련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알고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

문제점을 발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래서 지금은?’이라는 코너에서
어떻게 해야 더불어 살기 좋은지, 실제로
어떤 제도로 도움을 주고 있는지 등등을
알려주고 있어요.

마지막으로 ‘교과서 속 다문화 키워드’에서
우리가 생각해보고 알아야 할 내용들 속에
주요 키워드를 해시태그로 표시하여
더 집중해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고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의
내용들이 초등교과와 연계되어 있으니
학습적으로도 도움이 되어 더욱 좋았어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를 읽은
저희 아이는 “여러 이야기들이 다 재미있어서
금방 읽었어요. 그 중에서도 난민에 대해 알려 준 이야기가 제일 기억에 남아요. 고양이를
구해 준 비올라처럼 우리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지나치지 말고 도와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라고 하더라고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를 읽으며
우리 역사 속에서도 아주 오래 전부터
다문화사회가 이루어져 있었다는 점이
놀랍고 신선했어요.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는
점점 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아이들과 함께 꼭 읽어보면
좋을 책 같아요. 외국인에 대한 잘못된 편견,
차별, 혐오 대신 서로를 인정하며 함께
어울려 사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길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