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와 출판사를 유혹하는 웹소설 시놉시스와 1화 작성법 - 인기 작가를 꿈꾸는 웹소설 지망생의 비밀 레시피
13월의계절 지음 / 머니프리랜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웹소설같은 경우에는 진입 장벽이 크게 없습니다. 초기 비용이랄 것도 없지요. 다만 예전엔 조아라, 문피아 등의 무료 연제처의 힘이 예전같지만은 않아졌습니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트렌드도 많이 변화 되었죠. 그럼에도 많이 내가 한번 쯤은 하고. 소설에 들이밀기도 합니다.

인풋, 아웃풋?

처음에는 인풋, 아웃풋에 관해 나오길래, 여느 작법서랑 비슷하구나 싶었는데. 내용을 읽다보니 그건 아니었습니다. 충분히 이것에 대해 나올만하겠구나 싶은? 그런 내용들이 많이 있더군요. 내가 쓰고 싶은 글이 있는데, 키워드나 문체 내용이 카카오, 시리즈, 리디 이 세가지 플랫폼 중에 어디에 가장 적합할지 감이 안잡힌다면 인풋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작품들을 꼼꼼히 끝까지 읽고 나서 어느 부분이 좋았고, 만약 읽다가 하차한 책들도 여럿 있을거예요. 그 부분에 대해서 기록하는 습관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있었습니다.

음, 제가 요즘 최근에 읽었던 소설 중에는 법정이나 수사, 리맨물들이 굉장히 많았는데요.

그중에서 「테하X」 작가님의 책을 따로 찾아봐서 읽을정도로 재밌게 읽었습니다. 문체도 깔끔하고 필력이 좋았습니다. 문법 자체가 교양서적, 전문서적에서 읽을 법한 글들이 많이 있어서 배우기도 하는 책입니다. 저는 약간 책을 읽을때 배우고 싶은 글이나 표현이 고급진 언어를 배우려고 노력을 하는 편이게 되는데요. 이러한 내가 마음에 드는 책은 전부 줄거리를 쓰고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행동습관을 하게 됩니다.

인풋 : 내가 웹소설을 쓸때 타 작품을 읽거나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웃풋: 위에 읽었던 소설을 분석하여 작성하는 것을 말하는거예요. 쓰는 것, 내것을 쓰는것도 해당되죠.

리디, 북팔, 네이버웹, 카카오, 문피아 등에서 쓰는 키워들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이분이 알려주고 싶은 것들을 굉장히 많이다. 키워드. 책을 쓰다보면 조사도 굉장히 필요합니다. 정확히 내가 어떤 것을 쓰고자 했을때 그것에 대한 조사를 하셔야한다는 건 기본적으로 알고 넘어가자고요.

인물 설정

그다음엔 캐릭터에 관한 것들입니다. 로판(로맨스판타지)을 굉장히 많이 쓰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여주, 남주, 서브남주. 여기에는 로판뿐만아니라 남성향도 있더군요. 최근엔 보통 로판을 쓰시는 분들이 많이 있지만. 어쨌든 인물 설정은 어떻게 하는건지가 가장 중요한데요.

일단 첫째는 여주와 남주의 인물설정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서브남주도 그렇고 악역도 그런데. 악역은 세세한 설정은 안합니다. 처음엔 안하다가 쓰다보면서 악역이 나올때 추가로 넣어주는 부분이 많죠. 게다가 서브 남이나 남주 후보가 많아지면 스토리가 굉장히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니까. 일단은 쓸때 신경많이 써서 하셔야해요. 갑자기 스토리가 방대해지거나, 인물이 많아지다보면 그만큼 소설에 빈 공간이 많아지겠죠. 기초엔 틀을 잡고 탄탄히 써가는 방향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주인공 위주로 말씀드리자면. 인물의 초기 설정인 기본적인 헤어, 나이, 좋아하는거, 싫어하는것, 생일, 등의 있는데요.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소설을 이끌어나갈 여주or 남주에게 가장 중요한것은 목표와 욕망의 부분입니다. 소설에서 처음 시작할때 중요한게 주인공이 무엇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넓혀 나가야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많이 고민하게 되죠. 목표와 욕망은 꼭꼭 생각하셔야해요. 매슬로의 욕구 5단계 아시죠? 살아움직이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다면, 말투, 욕망, 목표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것도 좋아요. 성격은 특히나!

이야기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들은

무자비하게 버려야 한다.

예를 들어 1장에서 총을 소개했다면

2장이나 3장에서는 반드시 총을 쏴야 하며

만약 쏘지 않을 것이라면

과감하게 없애버려야 한다.

체호프의 총 이론 / 85P

이 책에는 인물 내면 / 심리묘사, 갈등, 복선, 등도 어떻게 내가 설정하고 해야할지에 관해서도 많이 알려줍니다. 특히 복선 같은 경우에는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는 내용으로 독자에게 작푼의 개연성과 직결되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이 책이 중요한 이유중에 하나. 이런것도 있죠. 내가 쓰는 작품을 매번 확인하고 들여다보면서 체크해야하는 부분이 이런 부분입니다. 각 주인공의 목표가 뚜렷하게 적혀 있는것이죠. 왜 이 인물이 이렇게 밖에 행동을 할수밖에 없는가에 관한 이유이고요. 그래서 이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스토리와 플롯

스토리와 플롯. 둘다 같은거 아니야? 생각한는데, 저도 이제 스토리와 플롯의 차이점에 관해 알게 되었습니다.

예시는 아래에.

예시

스토리

왕이 죽었고 그리고 왕비가 죽었다.

플롯

왕이 죽었고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한 왕비도 죽었다.

스토리는 전체적인 구성을 말하는 거고, 스토리 안에 ‘왜’ ‘무엇으로인해서’ 등의 포괄적인 이유가 적혀 있는것이죠. 그래서 전체적인 줄거리를 스토리를 쓰고, 플롯은 구체적으로 쓰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뿐만아니라 제목을 짓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게 되고 초보분들은 진짜 이거 책 없으면 안되겠더군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작법서중에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소설을 쓰다보면 신경을 써야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묘사. 이거……. 소설을 보다보면 어떤 놈팽인지는 몰라도, 댓글에 보여주기식이라고. 계속 얘기하길래 그게 뭔가 하고 지나쳤던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글을 어떻게 쓰느냐에 관한 내용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보여주기와 말하기식의 방법이 굉장히 간단하면서도 재밌었습니다.

말하기는 대충 남주가 계단에서 굴렀다. 뭐 이런거고. 보여주기식은 계단을 밟고 내려가는데 발목이 꺽이더니 아차하는 순간 이미 늦었다. 뭐 이런거랩니다. 설명하기 어려운 묘사는 간단하게, 이런걸 많이 써봐야한다고 합니다.

책도 많이 읽어야겠지만, 내가 어떤 지점에서 어떤 상황을 쓰고자할때 읽지 않으면 묘사도 힘들겠죠. 솔직히 이책은 사지 않으면 정말 후회되는 작법서중에 하나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