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나는 외로움의 원인을 탐구하고 분석하지 않는다.또 외로움의 문제를 심각한 보건 문제로 바라보고 비판하지도않으며, 역으로 외로움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자기 성찰의 계기로 삼아보라며 권유하지도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그들의 솔직한 자기 고백이 다른 이들과의 연결과 공감을위한 애정 어린 헌신이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외로움의 모양들이 내가 내 친구가 내 이웃이 경험하는 다채로운 외로움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위로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기를 바란다. 이것은 나와 인터뷰한 열두 사람이 자신의 이야기를 어렵게 나누며 희망한 단한가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에서는 본질에 충실한 리더쉽을 발휘하기 위한 단계로서,
5가지 유형의 리더를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 있다.
1) 자신을 아는 리더. 2) 공감하는 리더. 3) 성장하는 리더
4) 균형 잡힌 리더. 5) 나누는 리더
이 리더의 유형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와 어떤 방향이 좀 더 리더다운 방향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앞으로의 공직  생활에서 세대와의 소통 혹은 업무 방식에서 갈등을 겪지 않을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데 이 책에서는 그 갈등 종류를 세분화하고 여러 해결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책 전반적으로 기억에 깊게 남는 부분은 나 자신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좋은 리더로서 자리잡는 첫 걸음이라는 것이다.
나 자신이 여유가 있어야 주변을 돌아볼 수 있고 자기 감정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수용하고 갈등 상황에서 현명한 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 또한 그 감정을 통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함께 나아갈 수 있다는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리더라는 것은 꽤 부담되는 자리일 수 있지만,
그만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는 지름길 중 하나일 것이다.
스스로 변화하는 조직을 이끌려면 조직원들과 힘을 합쳐
변화를 유연하게 받아들여 서서히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한다.
자신과 조직의 중심을 균형있게 잡아나가면서
성공보다는 성장을. 권위보다는 영향력을 이끌어 내는 리더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천이 결여된 읽고 쓰기, 부채감 해소를 위한 읽고 쓰기는 비판해야 마땅하나 당사자가 아님을 문제삼아 글쓰기의 자격을 묻는 것은 윤리를 가장한 입막음으로 작동할 수 있다. 글쓰기의 자격을 심문하거나 그 실효성을 완전히 부정해버리면 각기 다른 조건 속에서 공통의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 자체가 차단되고 만다. ‘글쓰기의 몫이란 무엇인가‘라는어려운 질문에 응답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의 가르침이 실패한 진짜 이유는 교회가 ‘나의 질문을 막아버렸기 때문이다. 교회는 초인간적인 신의 선함과 권능을 빌려 가르치려 하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서로 다른 인간이 함께 살아갈 인간의 세계를 만드는 일이다. 여기에 종교와 정치의 차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