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말하는 절대적인 사랑은 모성애가 아니라 아기가 엄마에게 품은 사랑일지 모른다고, 신의 사랑이란게 있다면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었다.
젠장, 그냥 솔직히 말하겠다. 아테나의 원고를 갖는 일은 내겐마치 일종의 보상, 즉 아테나가 내게서 빼앗아간 것에 대한 보상처럼 여겨졌다.
아테나는 절대 개인적으로 고통을 경험한 적이 없었다. 그녀에게 고통은 그저 그녀를 부자로 만들어주는 수단에 불과했다.그 전시회에서 보고 들은 걸 바탕으로 한 단편소설로 아테나는상을 받았다. 제목은 ‘압록강의 속삭임‘이었다. 물론 그녀는 한국인이 아니었다.
고통을 쓸 권리는 과연 누구에게 있을까?
거짓말을 감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드러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