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서스에 따르면, 지구상의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생존 경쟁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생물종들의 생존 경쟁은 다윈이 제4장에서 다룬 ‘자연선택‘에 의해 판가름 난다. 다시 말해 자연에 적응한 생물들은 살아남아 자손을 전하지만 적용하지 못한 생물들은 도태된다. 다윈은 이 같은 생존 경쟁은 종과 종사이뿐만 아니라, 종과 변종 사이 등 다방면에서 펼쳐진다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릴레이의 망원경은 계속해서 센세이션을 불러왔다. 1613년 《태양 흑점에 대한 서한(Istoria e dimostrazioni intorno alle macchie solari)을발표한 그는 태양도 결코 완전무결한 천체가 아니며, 그 표면에는 불순한 흑점이 있다는 것을 알렸다. 그러나 갈릴레이는 책의 출판 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검열관들의 트집에 시달렸다.그는 《성서》와 부딪히지 않도록 책의 내용을 계속 고쳐 써야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릴레이의 발견들이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의 결정적 증거들임은 이미 확실해지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히 사는 것은 좀 지겹기야 하지만 별로 많이 지겹지도않고 괴로울 일이 있기는 있어도 그렇게 많이 괴롭지도 않았다. 그냥 죽는 것보다야 훨씬 낫다는 것을 다들 짐작하고 있었다. 오히려 그걸 알고 있어서 무서우니까 괜히 그런 구호도만들어서 소리도 지르고 하는 것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부분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자의식이 생기고 자기가 잘살기 위해 노력한다고 생각하지만 높은 지능을 갖고 있더라도 자의식이 저절로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자의식을 가지려고 일부러 뇌 한쪽에서 열심히 노력해야 의식이 생겨나는 거죠.
정신병에 걸려"정신줄을 놓아 버렸다‘는 사람들은 충분한 지능과 활발한 뇌기능이 있지만 바로 그 자의식을 유지하려는 기능을 중지한것입니다. 그런 사람들도 뇌의 처리 능력이나 판단 능력, 종합적인 지능은 별로 축소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해야 한다는것이 제 추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채식주의자는 세 개의 중편으로 이루어진 소설이다. 시간 순서대로 세 사람의 관점으로 기술되어 있고 각각의 이야기는 결국 하나로 이어져 있다.
채식주의자는 꿈을 꿨다는 이유로 갑자기 채식주의자가 된 영혜의 이야기가 영혜남편 시점으로 기술되어 있다.
몽고반점에서는 비디오 예술작가인 영혜의 형부 시점에서 기술되어 있고,
나무 불꽃에서는 영혜의 언니인 인혜의 관점에서 남편과의 만남, 인혜와 같이 겪은 유년시절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세 펀의 이야기를 다 읽고도 나는 평범했던 영혜가 왜 갑자기 채식주의자가 되고 나무와 같이 뿌리를 땅에 내려 죽고자 하는지, 인혜남편은 처제와 관계를 통해 결국 예술적 만족을 얻을 수 있었는지, 인혜는 어떤 마음으로 이 모든 걸 견디고 있는지.....심리묘사가 뛰어난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나는 이해할 수 없었다.
이 이야기의 주제는 결코 닿을수 없는 타인의 마음인 것인가.
불가해한 타인의 마음과 나조차도 알지 못하는 내 마음과 의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해 연결하고 회복하려 노력해야 하는건지 그냥 흘러가도록 둬야 하는지 알 수 없었다.
영혜의 시점으로는 이야기되지 않아 끝내 알 수 없는 영혜의 채식 동기는 어렸을 때 받은 아버지의 폭력에서 시작되었고 뺨을 때리며 억지로 음식을 먹게 했던 사건으로 촉발되었으며 영혜를 문 개와의 추억 등이 밑바닥에 깔려 있을거라 짐작만 할 뿐이다.
타인을 향한 폭력은 훗날 타인에게 생명을 망가뜨릴 정도로 위해를 가할 수 있으니 어떤 경우에라도 행해지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폭력을 담담하게 써내려가 놀라웠고 잔인하고 답답하고 안타까웠지만 전체적으로 문장이 아름다운 소설이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