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 머릿속을 스치는 이는 브뤼헐을 비롯하여 카라바조 Michelangelo da Caravaggio (1571~1610)나 미켈란젤로 MichelangeloBuonarroti (1475~1564), 『데카메론』을 쓴 보카치오 Giovanni Boccaccio(1313~1375) 같은 르네상스 시기 예술가부터 18세기 작가 대니얼디포 Daniel Defoe (1660~1731)나 20세기의 카뮈Albert Camus (1913~1960)로 이어지는, 역병의 참상을 작품화한 사람들이다. 평소라면 그다지 쓰지 않는 ‘위대한‘이라는 형용사를 굳이 이들에게 바치고싶다.
그 위대함은, 먼저 참화 한가운데서 철저하게 이를 응시하며기록하고자 했던 정신에서 기인한다. 만약 인류 전체가 죽음으로절멸한다면 그 기록은 누가 보게 될까. 아무도 보지 않는다면 쓴다는 행위(그린다는 행위)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들은 이런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릴 수 있는지는 차치하고 일단 용감하게 맞섰다. 이는 ‘인간‘의 가치를 주장하는 행위이기도 했다.참혹한 역병 속에서 이를 묘사해낸 이들의 정신이 위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