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가상 세계로 간다 - 피라미드부터 마인크래프트까지 인류가 만든 사회
허먼 나룰라 지음, 정수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좋아하는 자동차 카페가 있다. 카페 내외부에 일상에서 보기 힘든 자동차들이 전시되어 있다. 들리는 소문에 사장님께서 성공한 사업가라고 하며, 자동차를 참 좋아하신다고 한다.

카페 안에는 실제 자동차들과 수많은 피규어들이 전시되어 있다. 하지만 정작 내 눈길이 갔던 부분은 중간 중간 꽂혀있던 책이다. 중후한 디자인으로 큼지막한 영어글씨의 전시용 책이 아닌 실제 서점에서 판매하는, 아마도 사장님이 실제 읽으셨을 책들이다. 주식과 경제경영, 자기계발에 관한 책이 아니었다. 미래기술과 인문학에 관한 책들이었다.

'우리는 가상세계로 간다'를 읽게 된 계기가 위의 카페를 방문한 경험과 연관이 있다. 개인의 취향이겠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저런 책을 읽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나는 자기계발이나 주식관련 책을 주로 읽지만 실생활에 적용되거나 미래를 상상하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그냥 또 허무맹랑한 소리가 유행하는구나~ 이런 냉소적인 관망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이런 마인드가 도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고, 실제 빈 수레가 요란한 짝이 되더라도, 그것이 추구하는 미래는 무엇이었을까를 생각해보고자 했다.

요즘 많이 뜸해졌지만, 사실은 거의 언급도 안되지만 한동안 떠들썩했었던 메타버스. 언론과 미디어에서만 요란했지 실제로 주변에서 메타버스가 어쩌구 하는 사람은 주식하는 사람 정도 빼고는 들어보지 못했었다. 가상인간이 cf에 나오고 진짜 사람같다 또는 불편한 골짜기 이야기가 나올때도 그냥 한 때 이슈가 될거라 생각했었다. 예전에도 사이버가수 아담이 있었지 않은가. 그리고 내 예상은 주관적으로 어느정도 맞았다고 생각한다. 티비 강연과 cf에 나오던 메타버스와 가상인간은 이슈에서 멀어진 것 같다.

책을 읽으며 왜 이슈가 사그러졌는지를 생각해보니 그것은 아마도 명확한 비전의 제시가 대중들에게 전달되지 못함이 아니었을까. 가상인간, 가상세계는 위에서 예를 든 것처럼 과거에도 있었다. 그 당시에는 사이버라는 단어를 썼었다. 흐지부지 사라진 이유는 그 후의 비전의 제시가 부족했음이 아닐까.

책을 읽으면서 흥미로웠던 부분은 고대의 메타버스 개념이다. 피라미드, 스톤헨지 등 고대의 불가사의한 유적들, 또 신화들은 그 시대의 가상현실이었고 어떤 것들은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어떤 것들은 맥이 끊겼다.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책을 읽으며 '가치의 공유'가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되었다.

컴퓨터가 탄생한 이후로 참 많은 가상세계가 생겨났다. 과거 재미있게 즐겼던 울티마 온라인서부터 요즘 아이들이 즐기는 마인크래프트, 로블록스까지. 메타버스가 그저 얼마나 현실적으로 구현하느냐 하는 기술력만이 중요한 것은 아닌 것 같다. 가치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과 경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다. 마인크래프트나 로블록스를 보며 '와 정말 현실같다'라고 하진 않는다. 하지만 유저들이 스스로 만들어내는 컨텐츠는 그 자체가 가치로 인정받는다. 90년대 울티마 온라인을 처음 접하며 사람들과 대화를 하고 전투 외에도 여러가지 직업을 갖는 자유도는 놀라운 세상이었다. 그저 재미있는 게임일까?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책은 '새로운 종의 탄생'으로 미래의 메타버스를 예상하며 마무리된다. 반드시 그럴 것이다보다는 그런 미래가 있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과거에도 수많은 기업들이 메타버스에 관한 예측과 시장성으로 많은 투자를 하며 실패도 하고 성공도 하지 않았는가. 당연하지만 가장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가치를 경험시키는 메타버스의 출현을 기대해본다.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