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보다 해몽이라는 말이 있다.. 이 책의 뒷 부분에 실려 있는 번역가의 작품 해설이 몸 선생님의 <인생의 베일>이라는 작품보다도 훨씬 그 내용에 있어 감동적이고 짜임새가 있는 해설이었다는 생각이다.. 그도그럴것이 내가 작가들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작가들(서머싯 몸, 토마스 만, wg.제발트)중에서 단연 1위를 여지껏 내 마음 속에서 차지했던 바로 그 몸 선생님의 작품이라고는 도저히 믿겨지지 않을 정도의 실망스러운 책이었기 때문이다..

 

어느 지극히 평범하고도 뇌 용량이 그저 그런 수준의 키티라는 여자가 자신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남자를 만나 결혼하고, 그러다가 다른 남자하고 바람 피우고, 그러다가 남편한테 들켜서 그 벌로 콜레라가 들끓는 오지로 끌려가고, 그러다가 양심의 가책을 느껴서 수녀원에서 봉사활동하고, 그러다가 남편이 죽고, 그리고 다시 옛날 같이 바람 피우던 남자와 육체관계로 해후하고, 그리고 가슴 저 밑바닥에 남아 있는 죽은 남편에 대한 생각과 양심 때문에 자기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부모 곁으로 돌아가고...

 

이게 무슨 대단한 인생인가?.. 이런 내용을 통해 인생의 교훈,, 즉 용서하고 사랑을 하며 가족과 가정의 소중함을 느끼라고 독자들에게 강요할 수 있을까?.. 과연 이 정도의 스토리로 인생을 논할바엔 차라리 tv에서 방영하는 사랑과 전쟁 시리즈 한 편 보는 게 낫지 뭐하러 눈 아프게 책 읽어가며 고생했는지 솔직히 화가 난다..

 

<인간의 굴레에서>에서 느꼈던 그 뿌듯한 감동... <달과 6펜스>에서 내 마음을 헤집었던 카타르시스.. <면도날>에서 느꼈던  신에 대한 고찰과 몸 선생님 특유의 색깔있는 집필 방식... 그런데 이번에 읽은 <인생의 베일>은 그동안 내가 읽었던 선생님의 작품을 통해서 느꼈던 그 무엇도, 아무것도 없었다.. 한마디로 선생님의 작품 중에서 최고로 졸작이었다.. 실례의 말씀이겠지만 혹시 당시에 돈을 급하게 쓰실 일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책을 막 쓰셨던 게 아닐지.. 아님 중국이나 홍콩등을 여행하시고서 그 이국의 정취에 매료되어 글로써 뭔가를 남기긴 남겨야 할 텐데 마땅히 떠오르는 건 없고 그러다가 당신도 모르게 그저그런 3류 로맨스를 쓰신 실수를 범하신 게 아닐지.. 책을 읽다보면 특유의 몸 선생님 답지 않은 왜그리도 많은 배경 묘사가 판을 치는지 하마터면 이 책이 몸 선생님의 작품이 아니고 플로베르의 작품으로 혼동이 될 정도 였다.. 중국의 한 마을에 대한 아름다운 경치와 자연의 위대함 같은 것에 너무 지나칠 정도로 깊은 인상을 받으셔서 이리도 심하게 배경 묘사를 하신 게 아닐까 추측해 보면 아무래도 이 책을 쓰실 당시엔 컨디션이 매우 안 좋으셨을 걸로 사료가 된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이라는 작품이 너무 재미있어서  단 며칠 만에 완독을 하고선 에코에 feel이 꽂혀 막바로 구해 읽은 책이 바로<프라하의 묘지>였다.. 그리고 상권을 겨우겨우 읽고서 그 책을 내팽겨쳐버렸다.. 저것도 소설 작품이라고 씨발씨발하면서 내가 느꼈던 생각은 바로 아무리 유명하고 뛰어난 작가의 작품이라도 모든 작품이 다 뛰어날 수도, 재미있을 수도 없다는 거였다.. 이번에 읽은 몸 선생님의 <인생의 베일>을 차라리 읽지 않았다면 "윌리엄 서머싯 몸이라는 위대한 작가가 언제나 최고의 작가로 내 마음 속에 자리잡은 상태로 내가 생을 마감했을 텐데.." 라는 아쉬움을 느껴보면서 다시 한번 <프라하의 묘지>를 통해서 얻은 독서에 대한 지론을 실감하게 됐다..

 

난 <인생의 베일>을 내가 죽을 때까지 두번 다시 읽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이 책을 다시 꺼내서 읽기에는 두 번, 세 번, 네 번...열 번 이상을 읽어도 질리지 않을 또다른 작품들이 내 서가에는 잔뜩 꽂혀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