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
우에노 지즈코 지음, 이선이 옮김 / 현실문화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에노 지즈코 라는 저자는 일본 전체 국민의 대변자는 아니지만 그녀의 주장을 곱씹어보면 그나마 양식있는 일본인이라는 생각은 확실히 든다.. 그 이유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 반성해야 하는 세 가지 잘못으로,, 과거 전시중에 위안부를 운용한 것이 첫 번째 잘못이고, 이후 일본 전체가 위안부에 대한 사실을 전혀 모르는 것처럼 행동한 것이 두 번째 잘못이며, 언제부턴가 위안부에 대한 역사 자체를 왜곡 부정하고 있는 현재 일본의 모습이 그 세 번째 잘못이라는 확실한 인정과 반성의 자세를 자신의 저서에 집필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일본 내에서도 저자와 같은 양심의 세력들이 일부 존재한다는 것에 그나마 위안부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이 조금은 분노를 가라앉히실 만도 하지만,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당국의 인식과 그에 따르는 대처 방식이 터무니없이 미흡하다는 건 할머니들이 돌아가실 때도 고이 눈을 감고 가시지 못할 수밖에 없는 행동들이라고 생각하는바 이 문제가 우리가 바라는 최선의 방법으로 귀결되는 데는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가 생기리라 여겨진다..

 

위안부를 위한 기금 조성에 대한 문제와 실효성에 대한 우려 역시도 저자의 주장대로 실패함으로써 옳은 예측이 돼 버렸고,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처 방식 역시도 오히려 몇 년전 보다 발전은 커녕 오히려 퇴보한 게 사실이어서, 한일 양국 간의 팽팽한 줄다리기는 언제 끝날지 모른는 답답한 모습의 의견 대립으로 우리 국민들의 시름을 더욱 깊게만 해 줄뿐이다.. 다만 책에서도 다루어지는 페미니즘에 대해서는 저자의 주장에 반박할 수밖에 없는데,, 저자는 일본 사회가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로서 여성들에겐 국가의 정책에 당연히 참여할 기회가 없는 이유로 말미암아 과거 당시의 식민지 정책이나 위안부 운용등은 오로지 남자들, 즉 일본 정부의 책임만 존재한다는 논리로서의 책임 회피는 내 생각엔 결코 찬성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자신이 페미니스트가 될 수밖에 없었다는 논리를 주장한다면 이는 너무 치졸한 변명이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아무리 여자라도 자신의 능력이 미약하다는 이유로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는 등의 논리를 펴는 것은 동서고금 어디를 봐도 결코 대중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즉,, 과거 일본이 저지른 과오는 일본 전체, 일본의 여성들까지 아우르는 전체 국민들의 잘못이지 어느 한 젠더나 세력의 잘못이 결코 아니라는 결론이다..

 

끝으로 한 가지만 더 얘기하고 싶은 건,, 바로 우리나라의 조상들, 좀더 풀어 얘기하자면 무능하고 약한 나라 꼴을 만들어 결국은 이웃나라에 내 집마저 뺏기고 어린 소녀들의 정조 하나 지켜주지 못 했던 우리의 위대한(?) 조상들에 대한 작금의 우리 시각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유야 어떻든 간에,, 과거 일본놈들이 개자식들이란 건 둘째치고라도,, 내 나라 하나 제대로 간수하지 못하고 남의 나라에 그토록 부끄러운 지배나 당하게 만들어 놓은 그 잘난 순국선열들에게 과연 무슨 존경과 묵념을 표해야 하는지 나로선 정말 의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