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오소독스: 밖으로 나온 아이 - 뉴욕의 초정통파 유대인 공동체를 탈출하다
데버라 펠드먼 지음, 홍지영 옮김 / 사계절 / 2021년 7월
평점 :
# 언오소독스: 밖으로 나온 아이
데버라 펠드먼, 사계절, 2021.
ISBN 9791160947458
#독서일기/2021년/7월
#문학/에세이
#언오소독스:밖으로 나온 아이#
*사계절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쓰는, 개인적 감상입니다.
Unorthodox. 정통적이 아닌, 특이한. 부제를 읽기도 전에 쉬운 이야기가 아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제목의 의미를 신경쓰는 독자라면 읽는 내내 작은 의문이 해소되지 않고 부유하는 느낌이 들 것이다. 밖으로 나온 아이, 대체 누가. 주인공이라고 하기엔 그의 아이가, 아이라고 하기엔 주인공 데버라가 너무 어리다. 어리고, 미숙하고, 혼란스럽고 겁먹었지만 누구보다 용감한 여성. "언오소독스: 밖으로 나온 아이"는 억압되고 짓눌렸던 저자의 시간들과 그를 둘러쌌던 폭력의 세계를 고발하고 그에 굴하지 않고 스스로의 삶을 쟁취하고자 뛰쳐나온 용기를 고백하는 글이다. 길고 끈질긴 폭력과 굴욕의 굴레.
저자가 속했던 공동체는 뉴욕 소재 초정통파 유대인 공동체로, 율법 하에 모든 곳이 정해지는 곳이다. 코셔를 지키지 않는 식품, 물품은 사용치 않으며, 부부관계와 삶의 전반적인 것들의 기반에는 엄격한 율법이 있다. 아마 원작인 이 책이든, 넷플릭스 시리즈로 제작된 드라마든 이 이야기를 따라가는 독자는 끊임없이 튀어나오는 "여자는"에 진저리를 치게 될 것이다. 여자는 이걸 해서는 안돼, 여자는 이런 옷을 입어서는 안돼, 여자는 순종해야 해, 여자는, 여자는, 여자는, 여자는. 그 모든 것의 기반에는 율법이라는 이름의 폭력이 있고 여성은 순종이라는 이름의 굴종의 삶을 견디며 살아간다.
p.63 할아버지는 탄압의 유산을 물려받았다. 동유럽에 살았던 우리 조상은 수 세대에 걸쳐 히틀러 시대의 박해와 크게 다르지 않은 집단 학살을 경험했다. 엄청난 고통과 상실의 역사를 물려받은 할아버지가 왜 평생 자신을 탄압하며 살아가는지 나는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할아버지는 작고 무해한 즐거움을 누리지 못하도록 스스로를 가두고, 그 박탈에서 만족을 얻는 것 같았다. 나의 조부모가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시련을 가하는 것은 죄책감 때문일까?
p.121 나는 렙베의 부인이 되고 싶었던 적이 없다. 그것이 할머니처럼 늘 남편에게 순종하며 살아야 한다는 뜻이라면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나는 힘을 간절히 원했지만 그 이우는 다른 사람을 내게 복종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의 주인이 되고 싶었기 때문이다.
p.147 나도 신의 기적을 기다리는 대신 직접을 만드는 여성이 되고 싶었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속죄일 기도를 중얼거리긴 해도, 나는 기도문의 의미를 생각하지 않았고 자비를 구하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삶의 모든 것을 두고 떠나는 마음은 대체 무엇일까? 나의 집이, 나의 부모가, 나의 세계가 나를 열등하고 하등한 인간으로 규정지을 때, 결국 나의 절대자는 나를 복종하는 자로 만들었다는 것을 자의 혹은 타의로 받아들여야 할 때, 그 사람은 온전한 사람으로 대우받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 가부장적이고 억압적인 사회에서 피해자는 또다른 피해자에게 방관자이자 가해자이다. 어쨌든 나름대로 바르게 키우고 가르쳤다고 생각했지만 그 모든 것은 그를 소유할 신과 남자의 행복을 위해서였던 것처럼. 가해자는? 역시 가해자다. 데버라의 삶에서 순박하게 눈을 빛내고 율법을 따르던 남편은 역시나 엄마를, 아버지를, 계율을, 신을 사랑하고 또 두려워하며 누리고 순종했던 모든 것은 결국 그를 위해 순종하고 견뎌야했던 이들의 비명이었던 것처럼. 성추행범을 같은 집단이라는 이유만으로 용서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안식일의 가족 모임이라는 이유로 진통이 오는 임신부를 내원시켜야 할 보호자가 열두시간쯤 미루면 안 되겠냐고 말하는 잔인한 멍청함처럼.
이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저자를 향한 폭력의 세계를 고발하는 일에 대체 믿음과 종교는 어떻게 말할 수 있을지,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신념이 사람을 억압하고, 공격하고, 끝내는 삶을 송두리째 망가뜨리면서 그것을 행복과 평화를 위한 것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대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어떻게 연대할 수 있을지 한참을 고민했다. 역사가 끊임없이 마주쳐온 계몽과 자유의 문제가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끝없이 묻고 또 시행착오를 거쳐야 할 문제라는 점에서.
p.195 모든 질문에는 오직 한 가지 정답만 존재했다. 선생님은 타협이라 불렀지만 내게는 굴복이나 다름없었다.
스스로와, 선택이 아니었으나 사랑으로 선택한 아이를 폭력과 굴종의 세계에서 자유로운 삶으로 뛰쳐나오게 한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아울러, 올해의 여성저자, 올해의 에세이로 추천하기에 모자람이 없는, "언오소독스: 밖으로 나온 아이"에 대한 감상을 이것으로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