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권력의 역사 - 인간 문명 그리고 시간의 문화사
외르크 뤼프케 지음, 김용현 옮김 / 알마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사람들은 스마트폰으로 많은 일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이 일정과 스케줄을 관리하는 것이다.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상의 필수 도구는 바로 달력이다. 요일과 날짜가 적혀있는 그것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시간을 관리한다. 어쩌면 달력이라는 틀 안에서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달력과 날짜 시간에 대해 크게 고민해 본적은 없었다. 이 책이 달력이라는 것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게 만들었다.

역사는 완전히 중립적일 수 없다. 아무리 객관적인 서술의 역사라 할지라도 역사가의 의해 쓰여진 역사는 진실에 대한 왜곡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가 있다는 것은 100%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달력도 그러하다. 그것 또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잣대로서의 도구는 될 수 없는 것이다. 즉 달력에도 역사가 있다는 것인데, 사실 이 책을 읽기전까지 전혀 생각보지 못했던 역사의 한 부분이다. 그러하기에 더욱 흥미가 있었던 것 같다. 시간과 달력의 역사, 그러나 저자는 그렇게 제목을 정하지 않고 있다. 시간과 권력의 역사라는 제목을 사용하고 있다. 그것은 시간과 달력의 상관성을 두고 그것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권력의 수단이 되었는지를 보여주고 있기에 그렇다.

태양과 달이 시간으로 규정되고 시간이 달력이 되고, 시간이 법이 된다. 법이 된다는 것은 그 안에 정치가 있고, 정치가 있다는 것은 권력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는 뜻이 된다. 종이에 숫자가 적힌 달력 안에 이렇게 복잡한 역사가 담겨있다는 사실에 굉장히 놀라웠다.

시간의 문화사로 분류되는 책은 사실 내용자체가 쉽진 않았다. 문화사 분야의 역사 서술들이 대부분 그러한 듯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력이라는 우리의 일상과 가장 가까운 도구의 새로운 역사소재라는 점에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