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한국사 - 우리 지갑 속 인문학 이야기
은동진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재화를 사고 팔면서 화폐는 중요한 기준이자 수단이 되었다. 국가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화폐의 단위가 결정되고, 사회적, 역사적 상황에 따라 화폐의 모양과 새겨지는 그림이나 조각들이 결정되었다. 그러다 보니, 화폐는 각 나라마다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띠게 되었고, 사회문화,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자는 대한민국 화폐들을 소개하고, 각 화폐가 지닌 가치와 화폐안에 담겨진 것들을 통하 대한민국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화폐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역사서술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참으로 흥미롭다.

요즘은 카드나 스마트폰에 앱페이, 온라인 결제시스템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기에, 현금거래가 많이 줄었다. 거래가 줄었다는 것은 우리 주변에서 현금을 보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실용적인 면에 있어서는 현금 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희소성으로 볼때는 현금의 가치가 더욱 커졌다고도 볼 수 있다. 아무리 현금거래가 줄어도, 현금 곧 화폐 자체가 사라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를 따져도 화폐는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겠다.

저자는 이러한 화폐의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화폐안에 담겨진 그림들, 인물들을 중심으로 시대적인 상황들을 이야기로 풀어가고 있다. 흥미롭기도 하면서 전문적인 역사서술을 통해 각 단위의 화폐만으로도 한국사를 풀어내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 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폐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화폐들까지도 포함하여 한국에서 발행되었던 화폐들을 통해 한국사를 풀어가고 있다. 그래서 역사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역사책이며,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접근의 역사서술이라는 의미에서 유익한 책이라 소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