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1 이외수 장편소설 컬렉션 6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동양적인 환상적 분위기, 사심없는 순수한 아이, 갈등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폭력적이거나 극단으로 치닫지는 않음, 특유의 문체와 서술. 들개, 황금바늘, 벽오금학도 등을 통해 만나왔던 이외수의 근작을 읽었다. 그전의 작품들에 비해 다소 현대적인 요소들을 갖기는 했지만 내용은 여전히 이상적이다. 그리고 그 이상적인 작가의 상상력이 마음에 든다.

  불교의 윤회와 연기설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서 작가는 특별한 감동을 주려고 억지로 노력하지 않는다. 그저, 이웃집 할아버지의 이야기 같이 편안하게 진행되지만 우리는 그 속에서 선동을 만나고 세선을 만나고 진짜 기생과 진짜 선비를 만난다. 제목은 "괴물"이지만 오히려 괴물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이런 괴물이 있나" 가 아니라 "이런 세선을 보고싶다"가 더 마음에 남은 감동이다. 그게 이외수 소설의 매력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기존 소설들에 비해 몇배나 많은 등장인물들이 완전한 결말을 보여주지 못하고 이야기가 끝난다는 점이다. 좀 더 많은 이야기와 완전한 결말을 지어줄 수 있지 않았을까? 얼마전 "한강"을 읽었을 때와 비슷한 마음이다. 정도는 좀 덜하기는 하지만. "들개"나 "벽오금학도"같은 완결성을 보여줬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인상깊은구절]
  "우리 선주님은 진정한 기생이 없는 시대에는 진정한 선비도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니까 진랑호 아가씨들은 진정한 선비를 만들어내기 위해 진정한 기생이 되었다는 말씀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우리나라의 이미지를 "조용한 아침의 나라"라고도 하고 "동방의 군자국"이라 하기도 한다지만그 곳 역시 사람이 사는 곳이고 선비들만 사는 곳이 아니었다. 전에 "홀로 벼슬을 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를 읽으면서 놀랐던 것들이 작은 충격이었다면 이 책은 좀더 강도가 높다. 기생을 두고 싸움을 하는 양반의 모습이라던지 지금의 조폭 같은 검계와 멋부리기에 열중하는 한량 - 별감들, 완전 개판인 국가고시 - 과거 시험 같은 것들 말이다.

  작가는 두가지 관점에서 이런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한가지는 이런 감춰진 - 아니 너무 비천하고 하찮으며 부끄러운 이야기라 하여 감추어진 - 이야기들을 연구해 보고자 하는 관점과 여전히 조선시대에도 있었던 부조리하며 실소를 금치못할 만한 광경이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벌어지고 있음을 비웃는다.

  역사를 읽을 때 마다 느끼는 거지만, 인간은 달라지는 것이 하나도 없는 것 같다. 걸어다닐 때나, 말을 타고 다닐 때나, 차를 타고 다닐 때나, 비행기와 고속전철을 타고 다닐 때나 사고는 계속 되는 것처럼 말이다.

[인상깊은구절]
  어떤가? 술이야말로 한번 깊이 파고들어가 연구할 만한 주제가 아닌가. 물론 나처럼 한심한 연구자가 또 있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아무래도 고시열풍은 병리적인 현상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아직도 과거를 치르는 조선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지겨운 조선시대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프로그래밍 원리 - 2nd Edition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
야자와 히사오 지음, 조민호 감역 / 성안당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내용이 생각보다 많이 간략하고 단순합니다. 프로그래밍과 컴퓨터공학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설명하고 있는데, 어려운 내용들은 일단 많이 생략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학교에서 전공을 하면서 이책을 읽고 새롭게 배운 것이 있다는 것은 공부를 안했다는 뜻일겁니다. 내용 자체는 1학년때 배우는 개론과 전공교양과목에서 다 설명되는 부분입니다. (어셈블리가 커리큘럼에서 빠져서 그부분은 새로왔습니다.) 대학교 1학년을 마치고 이책이 새롭게 다가왔다면 반성하셔야 할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에 관심이 없는 분이 읽고 뭔가 얻을 수 있을만큼 쉬운 책은 아닙니다. 대학교 1학년 개론서 정도로는 적당하지만 비전공자가 읽어서는 도통 무슨 내용인지 알기 힘들 것 같네요. 광고의 내용보다는 내용이 많이 적습니다. 종이가 두껍고 편집이 넉넉하게 되있고, 삽화와 코드, 도표까지 있어서 그렇겠지만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적이 이끄는 교회 - 새들백교회 이야기
릭 워렌 지음, 김현회 외 옮김 / 디모데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회는 분명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영적이며 신적인 공간이다. 산사나 이슬람성지와 같은 신성한 영역이란 말이다. 하지만 개신교회는 처음부터 사람들 속에서 시작했고, 카톨릭교회와는 분명 다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좀더 가까이에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중 하나일 것이다. (너무 많다는 지적도 있지만...)

  교회에서 나고 몇몇 교회를 지나오며, 특히 개척 9년동안에 출석교인 11000명 이상으로 급성장한 분당 지구촌교회의 개척멤버로 교회의 일들을 주의깊게 배워오면서 이런 신성한 모임도 분명 사람들이 모이는 "회會"임을 자각하게 되었다. 그곳에는 믿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보다 많은 믿지 않는 사람도 있었고, 음악을 즐기러 오는 사람도 있었으며 도둑질하러 오는 사람, 사기칠 대상을 찾아 오는 사람도 있었다. 젊은 전도사님과 부서 담당 목사님, 그리고 담임 목사님의 관계는 마치 기업의 사원과 중간 관리자 그리고 CEO사이의 관계와 비슷한 부분도 있었다.

  릭 워렌 목사님이 이 책에서 언급하신 것 같이 교회도 하나의 기업처럼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동의한다. 물론 교회는 절대로 금전적 이익을 얻고자 하는 단체는 아니다. 헌금을 수입으로 하지만 그 목표는 이익의 창출이 아니라 더 많은 믿는 사람들과 삶이 변화된 사람들을 만들어 내는 일이다. 그리고 그를 위해서는 전통의 고수 보다는 시장(세상)의 수요에 맞게 전략을 세우고 적절한 마케팅과 끊임없는 평가를 통한 전략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매우 실제적인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실제로 우리 교회에서도 몇년전 이 책을 가지고 재직 세미나를 했었고, 예배 디자인의 많은 부분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 그 효과는 새들백 교회와 또한 우리교회가 증명한다.

  한가지 남는 의문은 릭 워렌 목사와 우리교회 목사님과 같은 경우, 단지 교회의 효율성과 바른 목적성 그리고 헌신된 성도들의 역할 만으로 교회가 커온 것은 아닐것 같다. 교회 성장의 가장 큰 역할은 두 교회 모두 탁월한 설교자가 아니었을까? 릭 워렌 자신은 그 부분을 누구나 자신과 맞는 사람들과 지역에서 사역한다면 자신이 아니어도 성장은 가능하다고 이야기 하지만, 글쎄. 분명한 달란트의 차이도 있는 것 아니었을까. 큰교회를 허락하신 하나님의 뜻이 더 큰 이유였겠지만.

  사족을 붙이자면, 현재 미국의 40대에게 가장 편안한 "전통적"인 음악이 경쾌한 리듬의 엘비스의 록큰롤이라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우리에게는 아직 현대 미국의 워십들이 40대에게는 어필하기 힘든데 말이다. 만약 내가 40대가 되었을 때, 나도 전통적인 음악을 찾아 락으로 찬양하는 예배를 찾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11 - 종말의 시작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 이야기 11권을 읽다가 가장 눈에 들어온 글은 "코모두스, 그는 로마제국의 재앙이었다"라는 말이다. 당신이 상상하는 그 코모두스 맞다. 검투사 황제. 막스무스와 싸우다 죽는 그 "글라디에이터"의 그 야비한 황제 말이다.

  어떤 사람을 제국의 재앙이라고 부른 역사가도 대단하지만 그렇게 불린 황제도 정말 불행하다. 그리고, 지금 내 머릿속에 "###의 재앙"이란 별명을 붙여주고 싶은 사람이 마구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해찬 : 대한민국 교육의 재앙
이승만 : 대한민국의 재앙
김영삼 : 대한민국 경제의 재앙
전두환 : 대한민국의 재앙2
하리수 : 성의식의 재앙
이두영 : 경기고 95회 3학년 12반의 재앙
똘아이(이름도 기억 안나다) : 경기고 95회 불어반의 재앙
등등등...

  서양 사람들, 참 대단한게, 어떤 사람이 뭔가 좋은 점이 있으면 재앙이라 부르기도 주저하지 않지만 이름에 별명으로 넣어버리는 거다. 안토니누스 "피우스"같이. 피우스는 자비로운 사람 이라는 뜻이다. 동양인들이 살아서는 자신이 지은 "자"나 "호"를 부르고 죽어서야 "충무공"같은 시호로, 그나마도 극소수에게 붙여주는데 반해서 그들은 "The Greate"같은 말들, 아프리카누스나 게르마니쿠스 같은 별명들을 이름에 덧붙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우리는 누구에게 그런 명예로운 별명을 붙여줄까? "옥수수 박사"같은 거 말고 좀더 그럴듯한거 말야.

  지금 대통령에게는 퇴임 후에 어떤 별명이 붙을까? 촛불의 재앙? MBC의 재앙?

  나에게는 누군가 그런 별명을 붙이고 기억해 줄까? 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