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힘
성석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역사를 매우 중요한 과목중 하나로 배우고 달달 외운다. 그 어떤 나라보다 자기나라의 역사를 잘아는 국민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일 것이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거짓말은 아니더라도 심한 과장과 억지로 만들어진 자부심으로 차 있다는 것을 아는 데는 그리 올래 걸리지 않았다. 작가가 서문에서 "도대체 우리 민족의 과거는 왜 이렇게 보잘것 없는가, 왜 우리 조상들은 언제나 당하기만 하고 살았는가"하는 의문을 갖는 것과 같은 이야기이다. 특히 조선 시대로 넘어오면서 부터 역사 전체가 사대주의 사상에 물들며, 중국에서조차 무너져버린, 옛사상들과 의리를 목숨처럼 중히 여기다 실제로 삼전도의 치욕까지 이어지는 모습이 우리 역사이다.
이런 조상님들이 내 눈에 반푼이밖에 안되는 인물들로 보이는 이유는, 그들이 고전을 읽는다 하면서도 그 안에 사람들의 모습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백이, 숙제가 주려 죽었다는 이야기 에서는 감동을 받아도, 송양공의 이야기에서는 교훈을 얻지는 못한 양반들이다. 송양공의 덕은 진짜 의(義)를 이야기는 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멍청함을 이야기 하는 것인데, 이 소설에 나오는 우리네 조상님들이 꼭 그런 멍청한 모습을 반복해서 보여주고 있다. 하나같이 모자란 사람들 같이...
수많은 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써왔던 작가가 처음으로 매우 흥미있는 역사적 인물에 관한 소설을 썼다. 처음 읽을 때는 이문열의 "황제의 꿈"과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했었다. 다소 비슷한 문체와 소설적 기법들이 있기도 했지만, 이 책 속의 "동구"는 뭔가 다른 힘과 매력을 지닌 캐릭터였다. 좌충우돌 양반답지 않은 모험의 연속이지만, 끝내 죽지 않고 살아남아 의기를 보였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가치있는 그런 인물이다.
그럼에도, 우리 역사에 대한 불만과 아쉼움이 끊이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 사대의 대상이 미국으로 바뀐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는 점이 그렇고, 또 그 명분을 "의리"라고 들이미는 어리석은 사람들이 여전히 많고, 그 때만큼이나 인물 없음을 한탄히 여길만한 때이기에 또 그럴지도 모르겠다.
[인상깊은구절]
"이들은 싸우기 보다는 산으로 도망가 목매 죽기를 서슴지 않고, 또 그런 병사들을 동정하기 까지 한다."
" 강화가 함락되면서 전 우의정 김상용이 자결했다. ... 그의 손자와 노복이 따라 죽었다. ... 우승지 홍명형은 남문루의 불 속에 뛰어들어 죽었다. 전 좌랑 김수남도 함께 폭사했다. ... 생원 김익겸은 그의 어머니와... 떠나지 않고 함께 타 죽었다. 별좌 권순장도 ... 함께 죽었다. 사복시 주부 송시영은 먼저 스스로 염습할 기구를 마련해놓은 뒤 목을 매 ㅈㄱ었다. 사헌부 장령 이시직은... 목을 매 죽었따. 민성은 강화가 함락되던 날 아내와 세 아들, 세 며느리, 네 딸과 함께 목을 매었고, 그의 첩과 누이도 목을 매었다. 심현 부부는... 서로 마주 보고 목을 매어 죽었다. .... 그밖에 선비와 부녀로서 변란을 듣고 자결한 자와 적을 만나 절개를 지켜 굴복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었다.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머릿수건이 물에 떠 있는 것이 마치 낙엽이 바람을 따라 떠다니는 것 같았다"고 사람들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