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3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3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미래의창 출판사로부터 #트렌드코리아2023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무엇보다 MZ라고 불리는 주된 소비층의 세대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p10


미래의창에서 이번에 미래북살롱 6기로 받은 책. 트렌드 코리아 2021을 독서 모임을 운영하시는 예슬림으로부터 받아서 읽어야지 했는데 2023년 책이 먼저 와서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책을 읽기 전에 먼저 트렌드 코리아 2023이 나온다고 했을 때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이 이 날만을 기다려왔다고 하며 예약 구매가 떳을 때 사람들이 인증하는 모습들이 기억났다. 그만큼 앞으로의 트렌드에 대해서 관심이 생각보다 많은 것이고 여러 직무들이 꼭 알아야되는 상식인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코로나로 2020년부터 많은 것이 바뀌면서 지금 규제가 풀렸지만 아직까지도 미지수인 것은 확실하다. 사람의 앞날이 모른다고 하지만 지금 더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유행을 선도하는 10대부터 옛날의 감성을 그리워하는 20대 이상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것들이 등장을 하고 있고 특히 포켓몬 스티커의 경우 책에 나온 것 처럼 드라마에서 한 번 나오고 나서 갑자기 영향이 커지며 메이플, 디지몬에서도 빵과 같이 내기도 한 것을 보면 추억을 다시 생각하려는 분위기가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 드라마들의 경우도 유행을 회상하기도 하지만 요즘 유행을 그대로 반영하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드라마도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와 같은 챌린지 영상을 같이 찍는 장면들이 나오기도 한다. 드라마 내에서 유튜브의 경우에도 어떤 사건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영상들도 나오며, Kpop의 경우 뮤직비디오들도 유튜브 기능을 넣는 편집을 해서 신선함을 주기도 했다.


2022년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고 앞으로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 여러 트렌드 예측들이 이 책에 많이 담겨있어서 콘텐츠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는 나에게 필요한 책이었다.  스타트업에서 잠시 실습을 한 곳에서 수요일마다 유니콘 기업에 대해서, 금요일에는 자체적으로 주제를 정해서 스타트업에 필요한 주제들을 가지고 게시물들이 올라오는 것을 매주 보는데 그렇게 트렌드를 알게 되기도 해서 생각 날 때마다 다시 한 번 더 읽어볼 예정이다.


확실한 것은 MZ세대라는 용어가 생기면서 형식이 더 파괴되는 트렌드가 일어날 것 같다는 예측이 같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11-03 1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