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뇌 문학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문학적 성찰
석영중 지음 / 열린책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밝히는 , 사유하는 , 시동 거는 문학





<눈 뇌 문학>은

눈으로 시작해 '보는 것'에 대한 작가의 풍부한 문학적 통찰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우해 볼 수 있다.

책 서두는 '눈으로 모든 것'을 담는다...이다. 앎이 깃드는 첫 단계가 몸의 언어를 통해서 체득이 되고 나면 위대한 계시로 바뀌는 점화의 순간이 온다. 위대한 계시란 이런 것이다. 보이는 것의 통로인 눈을 통해 사유를 시작하면 이는 뇌의 언어로 전환된다. 이 접점은 상상을 더하는데 보이는 것들을 넘어 보이지 않는 것들 마저 정교하게 시각화 시키는 눈과 뇌의 교감이다. 바로 마음이다. <눈 뇌 문학>은 바로 이 마음에 이르는 시선을 통해 인간의 보이지 않는 서사를 조명하는 작품 분석 이야기다. 그리고 그 끝은 우리가 '뇌를 넘어서 본다'로 마무리한다.

인간은 〈뇌로 본다〉는 사실이 이 책의 출발점이다.

그러나 이 책의 종착점은 인간은 〈뇌를 넘어서 본다〉이다.

p.9

우리가 가지고 태어나 저무는 육체적 시간들을 따라 물욕을 키워가며 사는 일은 자신의 고유한 경험을 통해 추상적인 신의 영역까지 욕망을 드리우며 파고들어간다. 이때 우리가 말하는 '보이지 않는 눈', 마음의 심미안은 러시아 문학뿐만 아니라 도스토옙스키의 세계관을 연구하는 작가의 <눈 뇌 문학> 전체를 상쇄하는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속 순수와 미혹함 사이에서 수많은 눈들의 보이지 않는 죄악과 사투는 우리가 대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되풀이하게 한다. 그리고 이 반복적 물음 속에서 신을 향한 끊임없는 눈물의 회개와 구원을 갈망하는 도덕적 회심을 소원하게 한다.

우리의 눈들이 그렇다. 선과 악의 넘나듦 속에서 어떤 것들은 추하나 빛이 되고, 아름다우나 어둠이 되어 있는 끊임없는 인간의 자기 합리화.

인간은 보이는 것을 보는 동시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

인간에게 본다는 것은 실질적인 지각(시각) 행위를 의미하는 동시에 감각과 긴밀하게 얽힌 비유적인 의미에서의 보기, 모종의 〈깨달음〉, 통찰, 심리적이고 영적인 의미에서의 〈개안〉을 의미한다. 인간의 모든 감각 중 시각만큼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물질적 영역과 비물질적 영역을, 형이하학과 형이상학을 촘촘하게 엮어 짜는 감각은 없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p.95~96

타인을 사랑하는 깊은 마음은 도스토옙스키의 타자를 바라봄에서 연민을 타고 온다. 그의 작품 속 시선을 따라 마음이 머무는 심연으로 들어가면 전혀 다른 차원의 숭고한 사랑을 완성하는 세계를 읽을 수 있다. 우리가 서로를 바라보고 통하고 원하는 한 가지 감정은 사랑이다. 최고의 윤리고 선이자 아름다움..... 신들이 인간에게 베푸는 향연.

사랑은 인간다움을 뿌리내리고 인지하는 모든 감각을 살아있게 만든다. 도스토옙스키의 문학 세계에서 언제나 만날 수 있는 이 바라봄. 눈을 통해 세상에 닿았다가 인간들 사이에 녹아든 타인의 의식을 의식하고 다시 문학으로 승화되어 궁극적으로 신을 부르는 속죄의 구속적 사랑... 참회의 눈물이 연민으로 그리고 다시 신들로...

이 모든 윤회적 연결고리를 저자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바라봄으로 시작하여 끝을 맺는다.

<신의 눈>을 <다 보기>라는 양적 개념으로 환산하는 것은 근대적 발상이라고 (193.) 저자는 말했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해. 놓친 것을 다시 잡기 위해. 사랑을 마주보기 위해.

삶의 무게를 가늠하기 위해. 내가 누구인지 알아가기 위해.

고결한 죽음을 마주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보고 어떤 선택을 하면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톨스토이가 묻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처럼... 그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 없다.

가장 단순하게 직관적으로 솔직하게 묻고 답하면 된다.

그 물음이 그대로 답이 될 것이다.





#석영중 #눈뇌문학 #열린책들 #리딩투데이 #독서카페 #리투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