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2
토머스 도드먼 외 엮음, 이정은 옮김, 브뤼노 카반 기획 / 열린책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에 이어 2권은 개인적으로 읽는 속도가 더 붙을 수 밖에 없었던 흥미로운 주제 중심으로 새로운 정보들이 전쟁사를 업그레이드해 나갔다.
핵심은 이것이다. 국가 권력이 전쟁을 변화시켰다.
얼마 전 오펜하이머 책과 영화를 동시에 감상하면서 전쟁이란 두 글자의 합 자체가 얼마나 지극히 주관적이고 메가적으로 단각화된 이념과 사상을 인류에게 주입시키고 있는지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역시 국가 권력이었다.
'특수 군사 과정'. 사실 나는 종교와 정치 속에서 땅을 차지하기 위한 자신들의 명분을 굳건히 하려는 국가들을 보면서 주도적일 뿐이지 전쟁 후에 포용적이지 못하는 한계들이 안타까웠다. 전쟁에 무슨 배려와 연민이 있을까만 자국의 이익만 우선 순위가 되다 보니 이젠 전쟁 자체가 스스로 다른 방식으로 딥러닝을 한다. 

그래서 2권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군인들의 전장 말고도 후방의 긴밀한 조력은 너무 흥미로웠다. 그 뿐만 아니라 마지막 부분, 각종 첨단 무기가 더 중요해 진 이유로 과학 발전과 정치파워가 손을 잡는 화합을 그리는 부분은 인상적이었다.
군인들의 생존업을 변화시키고, 변화의 주체로써 드론이 이들을 대신하고 있는 군사 작전에서 현대의 무기 배틀을 보여준다.
역시 국가 권력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군수 물자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후방의 서포트는 전장의 연장선에서 경제적 전쟁 특수를 만들어 낸다고 본다. 그리고 우리는 이 책에서 집중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약자들과 민간인들의 피해와 그들이 전쟁을 보는 시각에 대해서 자세히 생각해 볼 수 있다. 평화 수호를 위한 전쟁이란 말은 있을 수 없다. 그 어떤 전술도 전략도 정의로운 것은 없다. 강력한 국가 권력은 보이지 않는 폭력을 민간인들을 상대로 휘두른다. 이 폭력성은 점점 더 교묘하고 잔인하게 속전속결로 그들을 무력화 시킨다. 그 피해 양상을 이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들로 폭로한다.  

전술적 필요와 전장의 안개 때문에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 수백 명을 살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그들의 주장은 학살 중에 자행된 성폭력을 감안하면 여지없이 무너진다. 미라이에서 미군들은 여성 또는 소녀 20명을 강간했다. 가장 어린 피해자는 10살이었다. - 963.  

특히 성폭력은 공개적으로 마을 공동체 주민들 앞에서 자행된다. 이로써 얻는 무장 군인 세력의 이익은 공포 정치를 정당화하는 무력 침략 지배자에 대한 복종과 두려움이다. 피카소의 <부파샤의 초상화>는 이런 공개 강간 비판과 심판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할 수 밖에 없었던 당시의 암울했던 상황에 저항하고 드러냈던 그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회적인 화제성에 불과할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되고 만다.전쟁을 겪지 않은 나로서는 이 책이 주는 입체적인 시각화가 전쟁의 흐름을 세밀하게 그려내 주니 편견없이 인류의 욕망과 야망에 대한 부분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전쟁은 양쪽 모두에게 치명적인 만큼 그 후 전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민들에게 어떤 보상을 어떻게 해 주어야 하는지 끊임없이 감시하고 비판해야만 한다. 지난 200년간 다양한 명분으로 서로 갈등을 빚은 국가 간의 전쟁들.
앞에서도 전쟁이란 국가 권력이란 말을 했지만, 다른 시대를 지나 이어져 온 다양한 이념의 전쟁 발발은 모든 그 끝을 힘겨루기로 맺기 마련이다. 끝은 곧 전쟁이란 무엇인지 초연의 질문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리고 역시 국가 파워 게임이란 생각은 지울 수 없다. 정의 구현도 아니고 평화 추구도 아닌 그냥 죄와 벌이다.

#세상을바꾼전쟁의모든것 #토머스도드먼 #열린책들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독서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