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1
임레 케르테스 지음, 이상동 옮김 / 민음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1번째로 출간되었다.
헝가리 태생의 작가 임레 케르테스의 작품이 민음사에서 처음은 아니다.
이번에 읽은 <테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역시 임레 케르테스의 인생 4부작 시리즈 중 세 번째 작품으로 만났다. '운명'과 '좌절'이 앞서 나온 작품들이고 마지막이 '청산'이다. 유독 제목이 긴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는 서정적이지 않을까 나름 상상을 하고 도서 정보를 유심히 보았다.
작가의 이야기가 녹아 있는 수용소 이후 삶에 관한 고백이자 독백처럼 그려져 있다.

작가의 섬세하고 자의식이 한껏 깃든 문장은 그가 고통스럽지만 담담하게 그리는 미래의 우리에게 남기는 메시지 같은 것이어서 그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임레 케스테스는 1929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실제 그가 열 네살 되던 나이에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끌려갔었고, 차례로 독일 부헨발트 수용소와 차이츠 수용소에 갔다가 2차 세계대전 종결 후 부다페스트로 귀환한다. 작가이면서 번역가 이기도 했던 그는 수많은 철할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고 소개하면서 첫 소설 <운명>을 13년만의 산고 끝에 출간시켰다. 

세계 전쟁사를 엮은 수많은 장르의 책들이 홀로코스트 인종학살을 주제로 우리에게 뼈 아픈 참회를 하도록 계속해서 기억을 상기시켜 주고 있다. 이런 문학의 힘은 우리가 역사를 통해 그리고 인간 정서의 교감을 통해 전쟁 없는 평화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나가야 할지 진지하게 반성하고 실천하게 만든다.  
이미 지금은 임레 케스테스는 이 세상에 없지만, 그의 작품들은 우리들의 문학 세계 롤모델이 되어 수많은 독자들의 가슴 속에 회자되고 있다.

케르테스는 자신이 겪었던 홀로코스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남은 생을 그 후유증의 트라우마와 격하게 싸우며 이를 작품에 성토하는 실체를 보게 된다. 아직 태어나지 않았지만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해 기도를 하는 마음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무엇을 기리며 아이를 위해 단호하게 안돼!를 외치는 것일까. 절규하듯 호소하듯 외치는 안된다는 작가의 강한 의지는 무의식적인 내상의 기억과 외상의 일상에서 만들어낸 그들의 허락된 신호인 듯 하다.  '아니요!'여야만 하고 '안돼!'여야만 하는 이 반본능어의 실용은 작가의 신념과 확신 속에서 더 이상의 아우슈비츠가 지상세계에 번지는 일은 없어야 함을 꽂아주는 것 같다. 아내는 아이를 원하지만 그는 아내의 소원을 들어주지 못했고, 그렇게 떠나간 아내의 빈자리를 마주하면서도 끝내 자신의 반본능을 내려놓지 못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케르테스는 자신의 세계에 갇혀 있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존엄에 대한 가치를 어떻게 해서든 밖으로 내놓고 모두의 생각 가치로 바꾸기 위한 쓰는 업을 계속 이어 나간다.
자신을 회고하고 끊임없이 생과 사를 넘나들며 내면의 염려를 회유하는 그만의 쓰는 작업은 시종일관 애도의 맘을 담아 기도문처럼 표현하고 있다. 
다소 낯선 방식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처음엔 다가가기 힘들었지만, 빠져들다보니 감정이입이 되어 안팎을 긴 호흡으로 습독하는 힘이 생겼다.
트라우마를 평생 안고 살아가는 생존자들의 삶은 정해진 행복의 형태가 없는 것 같다. 
바라는 것들의 상상이란 안전하고 완전하며 행복이 차고 넘쳐 흐르는 어떤 무형의 알맹이들만 떠오르는 것들이다. 작가의 작품을 벗하며 지낸 시간 동안 우리가 그리는 개인을 넘어 동족을 넘어 인류애를 지켜나가는 작은 실천들에 생각을 돌리게 되었다.

#태어나지않은아이를위한기도 #임레케르테스 #민음사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독서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