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임진왜란에 관한 뼈아픈 반성의 기록 클래식 아고라 1
류성룡 지음, 장준호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징비록>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에 유성룡에 의해서 기록된 책이다.
임금마저도 피난을 떠날 수 밖에 없었던 임진년의 전쟁은 그야말로 비참하고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  
순식간에 삼도 - 한양, 개성, 평양 - 이 차례대로 무너져 일본군에게 함락됐고, 급기야는 조선의 팔도가 아수라장이 되었으며, 절망 뿐인 백성들이 살아 버텨낼 수 있었던 건 정말 '하늘이 도왔기 때문이'라는 말이 맞는 것이다.
200년 가까이 태평성대를 누렸던 조선은 군대도 결성되지 않았던 것이 결정적 흠이 되어 결국 약간의 자극과 갈등도 우리는 성장시키고 단련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생각을 고착시킨다.
징비록 앞에 쓰인 유성룡의 자서만으로도 이 책의 맥락을 느낄 수 있어 전쟁사에 대한 새로운 회고를 각성할 수 있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읽었던 기억으로는 임잰왜란이란 역사적 사건을 알아가기에 약간 난해 했었다. 통합적 시안을 갖기도 어려웠고, 무엇보다 이순신의 개인적인 일기 형식이다 보니 앞뒤 맥락을 연결 짓기에 상당히 부자연스러워 초보인 내가 볼 난이도가 아니었다. 
그런데 징비록은 감동 그 자체다. 
 
유성룡은 1586년 일본 사신 다치나바 야스히로의 내빙 기사를 시작으로 <징비록>을 시작했다. 그는 조선이 일본과 선린 우호 관계를 잘 유지해왔기에 신숙주가 임종 때 성종에게 말하길 '일본과 실화를 하지 마'시라고 했다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는 유성룡이 일본과 지속적인 평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외교적 주안점을 강조하고 있는 듯 하다. 

유성룡은 이순신을 천거했다. 이 둘은 문관과 무관으로 그 역할과 임무는 달랐지만, 나라와 백성을 품는 뜻은 일치했다. 그래서일까. <징비록>에 나타난 이순신의 임진왜란 전쟁은 자세하고, 명예로우며, 그의 깊은 통찰과 강직한 의지는 곧 올곧은 한 명의 리더가 너무 중요하다는 깨우침을 준다.

징비록을 읽다보면 준비없는 자가 어떻게 무너지는지 예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다. 전쟁을 일으킨 건  일본의 시작이었지만, 유성룡은 왜의 침략을 탓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이 제대로 대항하지 못했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반성하고자 했다. 그리고 즉각 실천에 옮겨 다시는 이런 일을 반복하지 않기를 바라며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선으로 3국의 상황을 기록했다.  

왜 지금 징비록일까. 클래식 아고라 첫 번째 책으로 우리에게 각인된 징비록은 우리의 미래를 여는 문인 것이다. 지금도 우리는 보이지 않는 전쟁을 수도 없이 치르고 있다. 그러나 각개 전투만 보인다. 존중과 전략이 담긴 최소한의 최악은 없다. 징비록은 우리가 어떤 미래를 그리며 후대를 얼마나 번성시켜 나가야 하는지 큰 그림을 그리도록 조직도를 짜주는 책이다. 그 어떤 문학작품 보다 긴장감과 속도감을 안고 진지하게 읽어나갔던 책이다. 
자신의 인생에 목적을 세우고 새로운 지략을 꿈꾸는 모든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책좋사 서평이벤트 지원도서
#징비록 #유성룡 #아르테 #클래식아고라 #책좋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